본문 바로가기

자료수집·소고/한국어

re: ㅿ




기본 구도표


입술

혀끝·이

혓바닥

목구멍


두입술

잇몸

잇몸'센입천장

여린입천장

목젖

목청

무음

 

 

 

 

 

 

 

 

 

 

ㅇ[欲 ∅]

비강


  ㅁ[彌 m]


ㄴ[那 n]


[ɲ]


ㆁ[業 ŋ]

[N]



비강 마찰

     

ㅿ[穰 ɲ̟͡ʑ]'

     

파열

ㅂ[彆 p]

ㅃ[步 b]

ㄷ[斗 t]

ㄸ[覃 d]

[c]

[ɟ]

ㄱ[君 k]

ㄲ[虯 g]


ㆆ[挹 ʔ]


 

 ㅍ[漂 pʰ]

 

  ㅌ[呑 tʰ]

 

 

 

 ㅋ[快 kʰ]

 

 

 

 

치찰 파찰



ㅈ·ᅎ[卽 t͡s]

ㅉ·ᅏ[慈 d͡z]

ㅈ·ᅐ[t̠͡ɕ]'

ㅉ·ᅑ[d̠͡ʑ]'






 

 

 

 ㅊ·ᅔ[侵 t͡sʰ]

 

 ㅊ·ᅕ[t̠͡ɕʰ]'

 

 

 

 

 

 

치찰 마찰



ㅅ·ᄼ[戌 s]

ㅆ·ᄽ[邪 z]

(*ㅿ)ㅅ·ᄾ[ɕ]'

*ㅿ·ㅆ·ᄿ[ʑ]'






비치찰 마찰

ㅸ[ɸ]

ㅹ[β]



[ç]

[ʝ]




ㅎ[虛 h]

ㆅ[洪 ɦ]

접근






[j]






탄설




ㄹ[閭 ɾ]








설측 접근




ㄹ[ᄛ l]










  • 전청(6): ㅂ ㄷ ㅈ ㅅ ㄱ ㆆ.
  • 차청(5): ㅍ ㅌ ㅊ ㅋ ㅎ.
  • 전탁(6): ㅃ ㄸ ㅉ ㅆ ㄲ ㆅ.
  • 불청불탁(6): ㅁ ㄴ ㄹ(ᄛᅠ) ㅿ(ㅆ) ㆁ ㅇ.



아무래도 '반✕음'의 의미는 첫·끝소리의 어긋남에 있었던 듯하다.--;;


※ ㅿ 의 자형은 'ㅅ·ㅇ'이 아니라 'ㄴ·ㅅ'이었다. 오른쪽 그림은 ㅊ을 지우거나 어딘가로 빼야할 듯.


ㅿ의 컨셉

ㅿ 의 정음 컨셉은 대략 다음과 같아 보인다.


  1. 불청불탁이다.
  2. 끝소리 ㅿ 은 ㅅ과 대립하는 비강음일 수 있다(ㄱ:ㆁ, ㄷ:ㄴ, ㅂ:ㅁ, ㅅ:ㅿ, ㆆ:ㅇ).
  3. 끝소리 ㅿ 은 입성이 아니다(상대적으로 공명음일 수 있다, ㆁㄴㅁㅇㄹㅿ).
  4. 끌소리 ㅿ 은 ㅅ으로 대신하여 적을 수 있다(당시의 -ㅅ[s/t̚ ](+ɲ̟͡ʑ/ʑ), ㄱㆁㄷㄴㅂㅁㅅㄹ).
  5. 끝소리가 첫소리와 전혀 무관한 소릿값이 아닌 이상 끝소리는 첫소리와 연계될 것이다.
  6. 비강음일 경우, 혓소리×잇소리라고 하였으니, 콧소리는 ㄴ[n]-[ɳ]-ㅥ[ȵ/ɲ̟]-[ɲ] 중으로 한정된다.
  7. 반치음의 옛한자음은 穰/ȵɨɐŋ/…이었을 것이다.
  8. 흐린소리 사이에서 사이시옷으로 쓰였다.
  9. 혓소리×잇소리 중, 혓소리(불청불탁)을 ㄴ[n]/ㅥ[ɲ̟]으로 특정한다면, 잇소리(흐린소리)는 ᄽᅠ[z]/ᄿᅠ[ʑ]으로 놓을 수 있다.
  10. 소릿값 [ɲ̟͡ʑ] 는 이중자음이지만, 다른 비강음의 단자음 같이, 촉박하게 말해졌을 것이다(촉박의 예: ㅑ·ㅕ…).
  11. 정리한다면, ㅿ[ɲ̟͡ʑ] 은 콧소리가 주가 되며 잇소리가 곁들여지는 단자음 비슷한 형태의 소리다.


ㅿ의 변화

[ɲ̟͡ʑ]
├ [ʑ̃] ─ [ʝ] ─ [∅]
│ │    ├ [j] ┘
│ │    └ [ç] ─ [x] ┬ [h]
│ │      ├── ─ [kʰ] ─ [k͈]
│ │      └ [ɕʰ]
│ └ [ɕ] ─([s])┴ [sʰ] ─ [s͈]
└ [ɲ̟͊͡ʑ / ɟ͡ʑ] ─ [d͡ʑ] ─ [t͡ɕʰ](상황적 격음화)


*ㅿ[ɲ̟͡ʑ > …]

ㅿ 의 소릿값은 다양하게 변화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대체로 경구개음을 벗어나지 않았다. 소릿값을 [z]로 보는 건, 후대의 역관들이 외국어의 [d͡ʑ]나 [ʑ]를 표기하기 위해서 사용하였던, (*ㅿ)을 경유하면서 나타난 것에 불과하다.


ㅿ > ㅈ 의 변화를 두고서 [z/ʑ]의 영향을 생각하기 쉽지만, 당시의 조선인들은 지금의 한국인들 처럼 맑은·흐린소리를 대립적으로 구분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s/z]나 [ɕ/ʑ]는 구별 없이 같은 범주로 묶어서 인식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ㅿ 이 ㅈ으로 변하였다면 그 것은 ㅿ[ɲ̟͡ʑ]의 [ɲ̟]이 탈비음화하는 결과로 부터 얻어졌을 것이다.


'혼자' 변이표(상상): ㅿ[ɲ̟͡ʑ]

어원

ㅸ소실

ㅿ탈비음화/ㆍ변이

ㄴ삽입(일부)

격음화(일부)

ᄒᆞᄫᆞᅀᅡ/hɒ.βɒ.ɲ̟͡ʑɐ/ ┬(ᄒᆞᄋᆞᅀᅡ)/hɒ.wɒ.ɲ̟͡ʑɐ/ ─호오ᅀᅡ/hɔ.ɔ.ɲ̟͊͡ʑɐ/ ─호온자/ho.on.ɟ͡ʑɐ/ ┬혼자/hon.d͡ʑɐ/



├혼저/hon.d͡ʑʌ/



└혼차/hon.t͡ɕʰɐ/

├(ᄒᆞᄇᆞᅀᅡ)/hɒ.bɒ.ɲ̟͡ʑɐ/ ┬(호브ᅀᅡ)/hɔ.bə.ɲ̟͊͡ʑɐ/ ┬(호부자)/ho.bu.ɟ͡ʑɐ/ ─호부차/ho.bu.t͡ɕʰɐ/

└호분자/ho.bun.ɟ͡ʑɐ/ ─호분자/ho.bun.d͡ʑɐ/

└(하브ᅀᅡ)/hɐ.bə.ɲ̟͊͡ʑɐ/ ─하분자/hɐ.bun.ɟ͡ʑɐ/ ─하분자/hɐ.bun.d͡ʑɐ/

└(ᄒᆞᆷᄋᆞᅀᅡ)/hɒm.wɒ.ɲ̟͡ʑɐ/ ┬(호므ᅀᅡ)/hɔ.mə.ɲ̟͊͡ʑɐ/ ┬(호무자)/ho.mu.ɟ͡ʑɐ/ ─호무차/ho.mu.t͡ɕʰɐ/


└(호문자)/ho.mun.ɟ͡ʑɐ/─호문차/ho.mun.t͡ɕʰɐ/


├(하므ᅀᅡ)/hɐ.mə.ɲ̟͊͡ʑɐ/ ┬(하무자)/hɐ.mu.ɟ͡ʑɐ/ ─하무차/hɐ.mu.t͡ɕʰɐ/


└(하문자)/hɐ.mun.ɟ͡ʑɐ/─하문차/hɐ.mun.t͡ɕʰɐ/


├(홈ᅀᅡ)/hɔm.ɲ̟͊͡ʑɐ/ ─홈자/hom.ɟ͡ʑɐ/ ┬홈자/hom.d͡ʑɐ/



└홈차/hom.t͡ɕʰɐ/


└(함ᅀᅡ)/hɐm.ɲ̟͊͡ʑɐ/ ─함자/hɐm.ɟ͡ʑɐ/ ┬함자/hɐm.d͡ʑɐ/




└함차/hɐm.t͡ɕʰɐ/
ᄒᆞᄫᆞᆯᅀᅡ/hɒ.βɒl.ɲ̟͡ʑɐ/─(ᄒᆞᄇᆞᆯᅀᅡ)/hɒ.bɒl.ɲ̟͡ʑɐ/ ─(호블ᅀᅡ)/hɔ.bəl.ɲ̟͊͡ʑɐ/ ─(호불자)/ho.bul.ɟ͡ʑɐ/─호불차/ho.bul.t͡ɕʰɐ/

[변이의 진행 순서와는 무관.]


예시(추정)

ᅀᅵ으ᇫ/ɲ̟͡ʑi.əʑ, ɲ̟͡ʑi.əɕ/(?) [한국어에는 맑은·흐린소리의 대립구도가 없음, z/ʑ ≒ s/ɕ.]


여ᅀᆞ/jʌ.ɲ̟͡ʑɒ/ >
├ (여ᅀᆞ)/jʌ.ʑ̃ɒ/ >
│ ├ (여ᅀᅳ)/jʌ.ʝə/ > 여우/jʌ.u/
│ │ └ (여ᅀᅳ)/jʌ.çə/ > 여히/jʌ.çi/
│ │   ├ (여흐)/jʌ.xə/ > 여흐/jʌ.xɯ/ > 여크/jʌ.kʰɯ/ > { 여끄/jʌ.k͈ɯ/, 여끼/jʌ.k͈i/ } > 영끼/jʌŋ.k͈i/…
│ │   │ └ 여후/jʌ.hu/ > 여호/jʌ.ho/ ← 여狐
│ │   └ (여시)/jʌ.ɕi/ > 여시/jʌ.ɕʰi/
│ └ ─ (여스)/jʌ.ɕə/ > { 여스/jʌ.sʰɯ/, 여수/jʌ.sʰu/ }
└ 여ᇫ/jʌɲ̟͡ʑ/(?) ≫ 영/jʌŋ/…(?)

[그외: 영우, 영호, 여오…]


ᄒᆞᄫᆞᅀᅡ/hɒ.βɒ.ɲ̟͡ʑɐ/ > 호오ᅀᅡ/hɔ.ɔ.ɲ̟͊͡ʑɐ/ 호온자/ho.on.ɟ͡ʑɐ/ 혼자/hon.d͡ʑɐ/.
즈ᅀᅥ리/t͡sə.ɲ̟͡ʑʌ.ɾi/ 즌저리/t͡sən.ɟ͡ʑʌ.ɾi/ > 진저리/t͡ɕin.d͡ʑʌ.ɾi/.

처ᅀᅥᆷ/t͡sʰʌ.ɲ̟͡ʑʌm/ 처엄/t͡sʰʌ.ʌm/ > 처음/t͡ɕʰʌ.ɯm/
ᄆᆞᅀᆞᆷ/mɒ.ɲ̟͡ʑɒm/ ᄆᆞᅀᆞᆷ/mɒ.ʑ̃ɒm, mɒ.ʝɒm/ᄆᆞᄋᆞᆷ/mɒ.əm/마음/mɐ.ɯm/

그ᅀᅳ다/kə.ɲ̟͡ʑə.dɐ/ > ᄭᅳᅀᅳ다/k̚͜kə.ʑ̃ə.dɐ, k̚͜kə.ʝə.dɐ/ >
├ ᄭᅳ으다/k̚͜kə.ɯ.dɐ/ ≫ 끌다/k͈ɯl.dɐ/
└ (ᄭᅳ스다)/k̚͜kə.ɕɨ.dɐ/ ≫ 끄시다/k͈ɯ.ɕʰi.dɐ/

그제ᅀᅡ/kə.d͡zʌj.ɲ̟͡ʑɐ/ > (그제ᅀᅡ)/kə.d͡zʌj.ʑ̃ɐ/kə.d͡zʌj.ʝɐ/ >
├ (그제ᅀᅡ)/kə.d͡zʌj.jɐ/ > 그제야/kə.d͡ze.jɐ/
└ (그제ᅀᅡ)/kə.d͡zʌj.ɕɐ/ > 그제사/kə.d͡ʑe.sʰɐ/


어ᅀᅳ름/ʌ.ɲ̟͡ʑə.ɾəm/ 어ᅀᅳ름/ʌ.ɕə.ɾəm/어스름/ʌ.sʰɯ.ɾɯm/


지ᇫ다/t͡siʑ.da/: 지ᅀᅥ/t͡si.ɲ̟͡ʑʌ/ 지어/t͡ɕi.ʌ/, 지ᅀᅳ니/t͡si.ɲ̟͡ʑə.ni/ 지으니/t͡ɕi.ɯ.ni/, 지ᇫ는/t͡siʑ.nən/ ≫ 짓는/t͡ɕit̚.nən/.



*-당개(?): -다ᇫ개/dɐɲ.gɛ/ > -당게/dɐŋ.ge/, -단게/dɐn.ge/.[ㅿ을 이렇게 쓰기는 힘들 듯.]

→ -단개/dɐn.gɐj/ > -당개/ŋ.gɛ/ ≫ -당게/ŋ.ge/


소리값은 대체로 이전을 따랐다.


한자

다음은 훈몽자회에서 보이는 한자음 일부.


[ȵ͡ʑ] > [ʑ̃ / ʝ] [∅]


  • 壤: ᅀᅣᇰ/ɲ̟͡ʑɐŋ/ > 양/jɐŋ/, 日: ᅀᅵᆯ/ɲ̟͡ʑil/ > 일/il/, 栭: ᅀᅵ/ɲ̟͡ʑi/ > 이/i/, 䓴: ᅀᅧᆫ/ɲ̟͡ʑʌn/ > 연/jʌn/, 栮: ᅀᅵ/ɲ̟͡ʑi/ > 이/i/, 葇: ᅀᅲ/ɲ̟͡ʑu/ > 유/ju/, 儒: ᅀᅲ/ɲ̟͡ʑu/ > 유/ju/.
  • 餌: ᅀᅵ/ɲ̟͡ʑi/ > 이/i/, 緌: ᅀᅲ/ɲ̟͡ʑu/ > 유/ju/, 袵: ᅀᅵᆷ/ɲ̟͡ʑim/ > 임/im/, 珥: ᅀᅵ/ɲ̟͡ʑi/ > 이/i/, 橈: ᅀᅭ/ɲ̟͡ʑo/ > 요/jo/, 輀: ᅀᅵ/ɲ̟͡ʑi/ > 이/i/.
  • 人: ᅀᅵᆫ/ɲ̟͡ʑin/ > 인/in/, 刃: ᅀᅵᆫ/ɲ̟͡ʑin/ > 인/in/, 絍: ᅀᅵᆷ/ɲ̟͡ʑim/ > 임/im/,  撋: ᅀᅧᆫ/ɲ̟͡ʑʌn/ > 연/ɲ̟͡ʑʌn/, 汝: ᅀᅧ/ȵ͡ʑʌ/ > 여/jʌ/, 二: ᅀᅵ/ɲ̟͡ʑi/ > 이/i/, 貳: ᅀᅵ/ɲ̟͡ʑi/ > 이/i/, 邇: ᅀᅵ/ɲ̟͡ʑi/ > 이/i/.

같이보기


변경사항

  • 2018-05-11: 불파된소리…쪽을 가져와서 병합 및 이전 삭제·수정.
  • 2018-05-06: '혼자' 변이표(상상): ㅿ[ȵ͡ʑ](원안) 추가.
  • 2018-05-03: [jᶝ/j] → [ᶝj] 변경.
  • 2018-02-27: ㅅ자 그림 추가, 홀소리 콘셉트 변경에 따라서 [ɘ] → [ʌ] 변경.
  • 2018-02-20: [ɲ] → [jᶝ] 변경.
  • 2018-02-13: 초안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