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
유비음? 무비음? 비음 기준으로 보는 자소분류 저번 글 ㅿ의 등장과 퇴장을 적은 뒤에, 몇 가지 사항들이 이리저리 굴러다니더니,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현대 한국어는 유기음과 무기음으로 대립하며 자소가 나뉜다. 동국정운이나 일본어 같은 경우는 청탁에 따른 무성음과 유성음을 말하고 있다. 그런데 옛한국어는 현대 한국어와 달리 유기음이 크게 발달하지는 않았다. 그렇다고 청탁으로 구분했던 것 같지도 않는데, 그렇다면 대체 무엇을 기준으로 삼은걸까? 그래서 말인데, 혹시… 비강음(콧소리)를 기준으로 삼지 않았을까하는 데 생각이 미쳤다. 유비음과 무비음 그렇게 바라보니, 정음에서도 그렇고 비음을 기준으로 삼아도 자소 분류가 상당히 잘 맞아떨어지는 것을 발견했다. 그리고 예전에 적어둔 것을 참고하여 표로 구성하였다. 1. 불청불탁이다. 2. 끝소리 ㅿ 은 ..
ㅿ의 등장과 퇴장 2020-09-30 추가사항: 유비음? 무비음? 비음 기준으로 보는 자소분류 이 글은 항상 그렇듯, ㅿ에 대한 상상물이다. 상상하기 전에 두 가지를 전제한다. 고대 부터 현대 까지, 한국인들은 [z/ʑ] 음가에 대한 개념이 없다. 고대 부터 현대 까지, 한국어는 구개음화를 겪어오고 있다. ㅿ의 등장 파생적 등장(2020-09-26) 전제는 한국어는 고대 부터 주변 언어(일본어나 중국어)와 달리 유성 치경* 마찰음이 아예 없었다고 보는 것이다. 별도의 훈련이 없는 순수한(?) 현대 한국인들의 언어 감각에서는 [z/ʑ]가 대체로 [d͡z/d͡ʑ](치경* 파찰음)으로 받아들여지지 도무지 마찰음 [s/ɕ]과 같은 계열이라고 여겨지지 않는 것 같아 보인다(ㅅ의 유기음 설이 있지만). 그렇다면 ㅿ는 대체 어떻게 나..
re: ㅿ 예전에 ㅅ·ㅈ·ㅿ에 대하여 다시 생각 그리고 결론이란 글을 썼지만, 세종이 틀렸을리 없다는 생각으로-_-; 재고하였다(그리고 또 다시…).2020-09-30 추가사항: 유비음? 무비음? 비음 기준으로 보는 자소분류 기본 구도표 입술 혀끝·이 혓바닥목구멍 두입술 잇몸 잇몸'센입천장여린입천장목젖목청 무음 ㅇ[欲 ∅] 비강 ㅁ[彌 m] ㄴ[那 n] [ɲ] ㆁ[業 ŋ] [N] 비강 마찰 ㅿ[穰 ɲ̟͡ʑ]' 파열 ㅂ[彆 p]ㅃ[步 b] ㄷ[斗 t] ㄸ[覃 d] [c] [ɟ] ㄱ[君 k]ㄲ[虯 g] ㆆ[挹 ʔ] ㅍ[漂 pʰ] ㅌ[呑 tʰ] ㅋ[快 kʰ] 치찰 파찰 ㅈ·ᅎ[卽 t͡s]ㅉ·ᅏ[慈 d͡z]ㅈ·ᅐ[t̠͡ɕ]'ㅉ·ᅑ[d̠͡ʑ]' ㅊ·ᅔ[侵 t͡sʰ] ㅊ·ᅕ[t̠͡ɕʰ]' 치찰 마찰 ㅅ·ᄼ[戌 s]ㅆ·ᄽ[邪 ..
ㅿ소리에 대한 소고 ㅿ소리를 흔히 [z]로 적는다지만, 훈민정음의 가획에 대한 적용을 생각해 본다면, 거센소리[ʰ]를 표기하는데 쓰이지 않았을까 싶다. ┌ ㅈ[c] ─ ㅊ[cʰ] ㅅ[s] ┼ ㅿ[sʰ] (혹, [ʒ]는 아닐까?) └ ㅆ[z] └ ㅄ[ˀs]좀 더 병렬적으로 놓고 본다면;ㅈ[c] ─ ㅊ[cʰ]ㅅ[s] ─ ㅿ[sʰ]그리고 전체적인 구상을 추론해본다면, [z]음은 된소리를 적는데 쓰이는 ㅆ에 할당되는 편이 자연스럽다!ㄱ[k] ─ ㄲ[g] ─ ㅋ[kʰ] ─ ㅺ[ˀk]ㅂ[p] ─ ㅃ[b] ─ ㅍ[pʰ] ─ ㅽ[ˀp]ㅅ[s] ─ ㅆ[z] ─ ㅿ[sʰ] ─ ㅄ[ˀs] 흠... 역시 이 편이 발상의 전개상 깔끔하게 들어간다. ㅆ이 단순한 합용병서였다면, ㅆ음을 邪자를 덧붙이며서까지 친절하게 설명했을 리가 없겠다. *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