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수집·소고/한국어

(4)
유비음? 무비음? 비음 기준으로 보는 자소분류 저번 글 ㅿ의 등장과 퇴장을 적은 뒤에, 몇 가지 사항들이 이리저리 굴러다니더니,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현대 한국어는 유기음과 무기음으로 대립하며 자소가 나뉜다. 동국정운이나 일본어 같은 경우는 청탁에 따른 무성음과 유성음을 말하고 있다. 그런데 옛한국어는 현대 한국어와 달리 유기음이 크게 발달하지는 않았다. 그렇다고 청탁으로 구분했던 것 같지도 않는데, 그렇다면 대체 무엇을 기준으로 삼은걸까? 그래서 말인데, 혹시… 비강음(콧소리)를 기준으로 삼지 않았을까하는 데 생각이 미쳤다. 유비음과 무비음 그렇게 바라보니, 정음에서도 그렇고 비음을 기준으로 삼아도 자소 분류가 상당히 잘 맞아떨어지는 것을 발견했다. 그리고 예전에 적어둔 것을 참고하여 표로 구성하였다. 1. 불청불탁이다. 2. 끝소리 ㅿ 은 ..
유니코드 표기 예전에 만들었던 것을 좀 더 다듬었다. 이 걸로 다른 걸 할 계획이긴 하지만,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다. 일단은… 중세[고대?]〜현대 한국어의 로마자유니코드 표기 ? 기본 자모 ㄱkg ㄴn ㄷtd ㄹɾl ㅁm ㅂpb ㅅsɕ ㅿɲ̟͡ʑ ㆁŋ ㅈt͡ɕ ㅊʨʰ ㅋkʰ ㅌtʰ ㅍpʰ ㅎ* K k/g N n T t/d R r/l M m P p,b Ŝs Ĉc Ṇĵ ṇj +/Ŋ ŋ Ṭc ḍĵ Ṭcʰ tĉ Kʰ kʰ Tʰ tʰ Pʰ pʰ H h/ĥ ㄲg ㅥɲ̟ ㅥ ᄿʑ ㅱw ㅸɸ ㅆs͈ ㅆɕ ㅇ· ㅉd͡ʑ ㅉʨ͈ ㄲk͈ ㄸt͈ ㅃp͈ ㆅɦ* Gg ⁻k Ɲɲ nʲ+ Gn gn Ĵ ĵ Mw -w Ff vh Sˣ sˣ C c -/X x Ḍĵ dj tcˣ Kˣ kˣ Tˣ tˣ Pˣ pˣ Ĥĥ xh ㄲ↓ ㄵ↓ ㅭ* ㅆz ㆆɂ ㅹ..
re: ㅿ 예전에 ㅅ·ㅈ·ㅿ에 대하여 다시 생각 그리고 결론이란 글을 썼지만, 세종이 틀렸을리 없다는 생각으로-_-; 재고하였다(그리고 또 다시…).2020-09-30 추가사항: 유비음? 무비음? 비음 기준으로 보는 자소분류 기본 구도표 입술 혀끝·이 혓바닥목구멍 두입술 잇몸 잇몸'센입천장여린입천장목젖목청 무음 ㅇ[欲 ∅] 비강 ㅁ[彌 m] ㄴ[那 n] [ɲ] ㆁ[業 ŋ] [N] 비강 마찰 ㅿ[穰 ɲ̟͡ʑ]' 파열 ㅂ[彆 p]ㅃ[步 b] ㄷ[斗 t] ㄸ[覃 d] [c] [ɟ] ㄱ[君 k]ㄲ[虯 g] ㆆ[挹 ʔ] ㅍ[漂 pʰ] ㅌ[呑 tʰ] ㅋ[快 kʰ] 치찰 파찰 ㅈ·ᅎ[卽 t͡s]ㅉ·ᅏ[慈 d͡z]ㅈ·ᅐ[t̠͡ɕ]'ㅉ·ᅑ[d̠͡ʑ]' ㅊ·ᅔ[侵 t͡sʰ] ㅊ·ᅕ[t̠͡ɕʰ]' 치찰 마찰 ㅅ·ᄼ[戌 s]ㅆ·ᄽ[邪 ..
훈민정음 홀소리(중성) 음가 상상도 훈민정음에서 말하고 있는, 홀소리(모음) 음가를 상상하여(!) 그림으로 남겨봄(추정도 아님). 기본자(콘셉트)가 정체하였을 경우상상도 기본 모음인 /ㅗ, ㅏ, ㅜ, ㅓ/의 정음 콘셉트가 예나 지금이나 별 차이가 없다고 할 경우다. 또한 '각각의 모음이 음양으로 짝을 이룰 경우, 근처에 있는 소리와 연관되도록 놓여졌다'라고 상정하고서, ㆍ[ɒ]와 ㅡ[ə]를 기반으로 삼고(ㅣ[i]는 중립), ㅗ[o]는 근처의 ㅜ[u]와, ㅏ[ɐ]는 근처의 ㅓ[ʌ]와 연관시켜 그려보았다. 위와 같이 놓고 볼 경우, 만약 ㆍ[ʌ]라면 근처의 ㅡ[ɘ]와, ㅓ[ə]라면 근처의 ㅏ[ɐ]와 연관이 될 만하겠다. 하지만 나는 예나 지금이나 ㆍ[ɒ]로 기준을 잡고 있으며, 정음의 콘셉트에서 /ㆍ/는 /ㅗ, ㅏ, ㅓ/ 보다 후설 저모음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