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24)
불파된소리 외 — *병서 이것저것 ※ 한자음들은 위키발이라서 어느 정도 까지가 맞는 것인지는 모름. 불파된소리불파-된소리 혹은, 불파된 소리 는, 된소리가 완전히 정착하기 전 단계의, 된소리 같은 소리를 '유사 된소리'라고 했을 때, 이 소리가 불파음으로 만들어진다고 가정하였기 때문에 붙여본 것이다. 어두자음 ㅅ좀 더 상상력을 발휘해보자면, 어두 자음 ㅅ- 은 원래 [s]라는 소리값을 가지고 있었다가, 어느 기점으로 [k̚·t̚·p̚]으로 바뀌는데, 이는 정음 이후에 글로 기록되면서 부터다. ᄠᆞᆯ/ptɒl/ ≫ ᄯᆞᆯ… ᄯᆞᆯ/stɒl/ > ᄯᆞᆯ/t̚͜tɒl/ > 딸/t͈ɐl/ 정음이전↔정음이후→현대[그런데 만약, ᄯᆞᆯ의 고대형이라는 寶妲의 寶가 실은 ㆆ[ʔ]를 위한 표기였다면? 寶妲[ʔtɒl/ˀtɒl] 정도가 되었을 것이니, 어두..
ㅂ/ㅅ 합용병서 — 사이시옷 접근 방법에 있어서 수정됨. ㅂ 합용병서 어떤 ㅂ 합용병서는 사이시옷을 표기한 것 처럼 보인다. 가령 좁쌀의 예를 들어 본다면, 좁쌀 은 '조ᄡᆞᆯ'에서 왔는데, 사전에서는 이를 "좋+ᄡᆞᆯ"의 합성어로 표기해놓고 있지만, ㅂ 이 사이시옷이라면 이 것은 다음과 같을 것이다. 좁쌀 < 좁ᄉᆞᆯ(조ᄡᆞᆯ) ← 좋+ㅂ+ᄉᆞᆯ. [ 즉, 米(rice)의 오래된 형태는 /ᄉᆞᆯ/일 것이다. ] 이 표기법이 가로쓰기에서는 잘 티가 나지 않지만, 세로쓰기로 본다면 마치 잘 결합된 블럭 처럼 보인다('마립간-마리ᄇ간-마리ᄞᅡᆫ'도 추가). [조ᄡᆞᆯ 은 내부적인 탈네모꼴(?) 표기로써 나타난 것이 아닐까?] ᄡᆞᆯ 의 사이시옷 ㅂ이 어떤 식으로 주어졌는 지는 모르겠지만, 기본형으로 쓰였던 ㅅ과 는 구분되는 형태였기 때..
유니코드 표기 예전에 만들었던 것을 좀 더 다듬었다. 이 걸로 다른 걸 할 계획이긴 하지만,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다. 일단은… 중세[고대?]〜현대 한국어의 로마자유니코드 표기 ? 기본 자모 ㄱkg ㄴn ㄷtd ㄹɾl ㅁm ㅂpb ㅅsɕ ㅿɲ̟͡ʑ ㆁŋ ㅈt͡ɕ ㅊʨʰ ㅋkʰ ㅌtʰ ㅍpʰ ㅎ* K k/g N n T t/d R r/l M m P p,b Ŝs Ĉc Ṇĵ ṇj +/Ŋ ŋ Ṭc ḍĵ Ṭcʰ tĉ Kʰ kʰ Tʰ tʰ Pʰ pʰ H h/ĥ ㄲg ㅥɲ̟ ㅥ ᄿʑ ㅱw ㅸɸ ㅆs͈ ㅆɕ ㅇ· ㅉd͡ʑ ㅉʨ͈ ㄲk͈ ㄸt͈ ㅃp͈ ㆅɦ* Gg ⁻k Ɲɲ nʲ+ Gn gn Ĵ ĵ Mw -w Ff vh Sˣ sˣ C c -/X x Ḍĵ dj tcˣ Kˣ kˣ Tˣ tˣ Pˣ pˣ Ĥĥ xh ㄲ↓ ㄵ↓ ㅭ* ㅆz ㆆɂ ㅹ..
기억 속 전북사투리 적어둔다고 하다가 까먹은 것도 좀 있지만,내가 육성으로 직접 접할 수 있는 수준에서는 거의 다 나온 듯? 일단 종료일까? 이러저러하게 내가 직접 들었던 단어들이다. 생각나면 계속 추가 예정. 단, 연령·성별·출신지(전북도를 벗어나진 않음)가 무시되기 때문에 신뢰성은 떨어진다.이러저러한 말들 ㄱ ㄴ, ㄷ-ㄹ, ㅁ ㅂ, ㅅ-ㅿ, ㅇ-ㆁ, ㅈ-ㅊ, ㅋ-ㅌ-ㅍ-ㅎ-ㆆ, ㄲ-ㄸ-ㅃ-ㅆ-ㅉ. ㄱ 가새 가위.【‹ᄀᆞᅀᅢ…←ᄀᆞᇫ-+-개】 가시내 계집아이. 가심 가슴. 가지가다 가져가다.【가지가다←가지-+(-어)+가-】 가찹다 가깝다. 갖과 [가꽈] 가지고 와(갖고 와). 갈쳐둘라고 =갈켜둘라고. 가르쳐주라고. 갈판혀? 갈 거야? 갖고다 [가꼬다] 가지고 오다.【‹갖고오다←갖-+고+오-】 개바서 가벼워서. 개볍다 가볍..
re: ㅿ 예전에 ㅅ·ㅈ·ㅿ에 대하여 다시 생각 그리고 결론이란 글을 썼지만, 세종이 틀렸을리 없다는 생각으로-_-; 재고하였다(그리고 또 다시…).2020-09-30 추가사항: 유비음? 무비음? 비음 기준으로 보는 자소분류 기본 구도표 입술 혀끝·이 혓바닥목구멍 두입술 잇몸 잇몸'센입천장여린입천장목젖목청 무음 ㅇ[欲 ∅] 비강 ㅁ[彌 m] ㄴ[那 n] [ɲ] ㆁ[業 ŋ] [N] 비강 마찰 ㅿ[穰 ɲ̟͡ʑ]' 파열 ㅂ[彆 p]ㅃ[步 b] ㄷ[斗 t] ㄸ[覃 d] [c] [ɟ] ㄱ[君 k]ㄲ[虯 g] ㆆ[挹 ʔ] ㅍ[漂 pʰ] ㅌ[呑 tʰ] ㅋ[快 kʰ] 치찰 파찰 ㅈ·ᅎ[卽 t͡s]ㅉ·ᅏ[慈 d͡z]ㅈ·ᅐ[t̠͡ɕ]'ㅉ·ᅑ[d̠͡ʑ]' ㅊ·ᅔ[侵 t͡sʰ] ㅊ·ᅕ[t̠͡ɕʰ]' 치찰 마찰 ㅅ·ᄼ[戌 s]ㅆ·ᄽ[邪 ..
훈민정음 닿소리(자음) 배치도 훈민정음의 닿소리를 오행-하도에 비유하여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 보았다. ㅁ 계열 닿소리는 2D라서 겹쳐보일 뿐, 공중에 떠있는 것이다(···). 각자병서는 원안과 같이 유성음으로 처리. ㅅ-ㅿ은 아래와 같은 구도로 새로이 편성하였다. ᅔᅠ ─ ㅊ ─ ᅕ │ ᅏᅠᅎᅠ ─ ㅈ ─ ᅐᅠᅑᅠ │ ᄽᅠᄼᅠ ─ ㅅ ─ ᄾᅠᄿᅠ │ ㅿ [t͡sʰ] ─ ㅊ ─ [t͡ɕʰ] │ [d͡z][t͡s] ─ ㅈ ─ [t͡ɕ][d͡ʑ] │ [z][s] ─ ㅅ ─ [ɕ][ʑ] │ [ɲ̟͡ʑ] 다음은 낙서를 따라서 기본자를 3x3으로 놓아본 것.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 ㄹ ㄴ ㅿ ㄱ ㅁ ㅅ ㆁ ㅇ ㆆ 다음은 초안/2안으로 버린다. 그리고 전에 포스팅하였던, ㅿ 음가 말인데, ㅿ가 "ㅅ·ㅇ·ㅈ"으로 변한 것을 본다면, [ʝ] 만한게 ..
훈민정음 홀소리(중성) 음가 상상도 훈민정음에서 말하고 있는, 홀소리(모음) 음가를 상상하여(!) 그림으로 남겨봄(추정도 아님). 기본자(콘셉트)가 정체하였을 경우상상도 기본 모음인 /ㅗ, ㅏ, ㅜ, ㅓ/의 정음 콘셉트가 예나 지금이나 별 차이가 없다고 할 경우다. 또한 '각각의 모음이 음양으로 짝을 이룰 경우, 근처에 있는 소리와 연관되도록 놓여졌다'라고 상정하고서, ㆍ[ɒ]와 ㅡ[ə]를 기반으로 삼고(ㅣ[i]는 중립), ㅗ[o]는 근처의 ㅜ[u]와, ㅏ[ɐ]는 근처의 ㅓ[ʌ]와 연관시켜 그려보았다. 위와 같이 놓고 볼 경우, 만약 ㆍ[ʌ]라면 근처의 ㅡ[ɘ]와, ㅓ[ə]라면 근처의 ㅏ[ɐ]와 연관이 될 만하겠다. 하지만 나는 예나 지금이나 ㆍ[ɒ]로 기준을 잡고 있으며, 정음의 콘셉트에서 /ㆍ/는 /ㅗ, ㅏ, ㅓ/ 보다 후설 저모음이라..
ㅿ소리에 대한 소고 ㅿ소리를 흔히 [z]로 적는다지만, 훈민정음의 가획에 대한 적용을 생각해 본다면, 거센소리[ʰ]를 표기하는데 쓰이지 않았을까 싶다. ┌ ㅈ[c] ─ ㅊ[cʰ] ㅅ[s] ┼ ㅿ[sʰ] (혹, [ʒ]는 아닐까?) └ ㅆ[z] └ ㅄ[ˀs]좀 더 병렬적으로 놓고 본다면;ㅈ[c] ─ ㅊ[cʰ]ㅅ[s] ─ ㅿ[sʰ]그리고 전체적인 구상을 추론해본다면, [z]음은 된소리를 적는데 쓰이는 ㅆ에 할당되는 편이 자연스럽다!ㄱ[k] ─ ㄲ[g] ─ ㅋ[kʰ] ─ ㅺ[ˀk]ㅂ[p] ─ ㅃ[b] ─ ㅍ[pʰ] ─ ㅽ[ˀp]ㅅ[s] ─ ㅆ[z] ─ ㅿ[sʰ] ─ ㅄ[ˀs] 흠... 역시 이 편이 발상의 전개상 깔끔하게 들어간다. ㅆ이 단순한 합용병서였다면, ㅆ음을 邪자를 덧붙이며서까지 친절하게 설명했을 리가 없겠다. *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