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24)
중세국어의 ㅖ 현대국어에서 ㅖ 는 /je/라고 발음 된다. 하지만 예전에는 단모음이 아니므로 /jʌj 또는, jɤj/로 발음되었으리라 보지만(일반적으로 말해지는 건 /jəj/, /ɤ/에 대한 건은 여기를 참고), 당대 역관들의 책을 보면 일본어의 え를 표기하기 위해서 /예/를 쓰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렇게 바라보면 기분상인지는 몰라도, ㅖ/jʌj/는 뭔가 좀 지겹게 느껴진다. 그러니까 'ㅣ-ㅓ-ㅣ'가 빠르게 발음된다는 건데, ㅓ 앞뒤로 ㅣ가 배치되면서 뭔가 늘어지는 것이다. 그래서 말인데 실은 빠르게 발음되는 와중에 앞부분에서 전설로 단모음화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그 것은 아래와 같이, 마치 현대한국어에서 단모음이 탄생하는 방식 처럼 전설모음화된다는 것이다. ㅖ: /jʌj 또는, jɤj/ → /ɛj 또는, ej/..
어떤 한자어들: 깨닫다, 기운 깨닫다 '깨닫다'라는 말이 있다. 명사로 쓴다면 깨달음이라고 한다. 깨닫다의 옛어형은 ᄭᆡᄃᆞᆮ다 이고, 그 변화의 과정을 구성한다면 다음과 같다. 깨닫다 < ᄭᆡᄃᆞᆮ다 ← ᄭᆡ-+ᄃᆞᆮ- ᄭᆡ다: (잠 따위를)깨다. ᄃᆞᆮ다: 달리다. 그렇다면 깨닫다 라는 건 '깨어 달리다'라는 뜻인가? 깨어 달린다라는 것은 무슨 뜻일까? 어떤 고차원적인 표현일까? 나 처럼 뛰어다녔던 사람이 만든 건가? 그런데 나는 실상을 이렇게 생각한다. 그러니까 실은 저 것 자체는 별 뜻이 없으며, 어떤 한자어를 음차한 것일 뿐이다. 무엇을? 나는 다음과 같다고 생각한다. 해탈(解脫, मोक्ष, mokṣa) ├ 解: /kˠɛ/ 또는, /kai/ → ᄭᆡ/skɒj/(?) └ 脫: /duɑt̚/ 또는, /tʰuɑt̚/ → ᄃᆞᆮ/..
어떤 접미사 -ㅅ 습관을 대체할 만한 단어를 찾다가… ᄇᆡᄒᆞᆺ 「001」‘버릇’의 옛말. 추정 분석(?): ᄇᆡᄒᆞᆺ ← ᄇᆡ+ᄒᆞ+-ㅅ 1. ᄇᆡ ⇒ ᄇᆡ다(배다). 2. ᄒᆞ ⇒ ᄒᆞ다(하다). 3. ㅅ ⇒ 상태와 관련된 명사를 만드는 접미사? 그러니까, 뭔가 배어있는[습관화된] 상태인 어떤 조어 'ᄇᆡᄒᆞ다'에 어떤 접미사 -ㅅ 이 붙어서 명사화된 것 처럼 보인다. 이와 비슷한 것을 꼽자면, '거다'와 '것이다'의 관계를 들어 볼 수 있을 것 같다. 대개 '거다'는 '것'의 구어 형태인 '거'에 속하는 것으로 말해지는 것 처럼 보이지만, 만약에 어떤 접미사 -ㅅ 이 있었다면, '거다'는 '것이다'의 구어 형태가 아니라 좀 더 원형에 가까운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을 거다. 즉, *ᄇᆡᄒᆞ다+-ㅅ → ᄇᆡᄒᆞᆺ. p..
한국어의 단모음 생성과 소실 보통 이렇게 말해지는 것 같다. 대체로 그럴싸하게 보이지만, 다음 부분은 의문이다. 왜, ㅐ/ɐj/에서 단모음으로 전설화 되었는데, /æ/가 아닌 /ɛ/인 걸까? 그냥 앞으로 당겨졌어야 하는 것 아닌가? /ɛ/ ← /ɐj/ (고설·전설화) ← 의문 /æ/ ← /ɐj/ (전설화) 이를 두고 곰곰히 생각해본 결과, 이 안은 '(ㅔ/e/, ㅐ/ɛ/) ← (ㅔ/əj/, ㅐ/ɐj/) 란 컨셉에 맞춰서 설정된 것이 아닐까?'라는 의심이 들게 되었다. 또 생각해볼 때, 한국인은 중저모음과 중고모음을 잘 구분하지 못한다(않는다?). 그러니까 가령, /ɔ/와 /o/는 대개 /ㅗ/로 들리고, /ʌ/와 /ɤ/는 대체로 /ㅓ/로 들린다. 한 마디로 말해서, /ɛ/와 /e/는 처음 부터 모두 /ㅔ/로 들렸을 것인 즉, ㅐ/ɐj..
계림유사의 弟曰了兒 다음과 같은 망상을 하게 되었다. 계림유사의 "弟曰了兒"의 了를 아/ɐ/ 로 읽어본다면(현대한국어 '아우'로 부터 추론된 것이니 큰 의미는 없다), 了兒/ɐ.ȵiᴇ/… 대충 아ᅀᅵ/ɐ.ɲ̟͡ʑi/ 나 아ᄔᅵ/ɐ.ɲ̟i/, 아니/ɐ.ni/ 정도로 생각할 수 있을 것 같다[あに(?)]. 중세한국어의 아ᅀᆞ 를 읽는다면, 아ᅀᆞ/ɐ.ɲ̟͡ʑɒ/ 가 될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관계가 된다. 了兒: 아ᅀᆞ/ɐ.ɲ̟͡ʑɒ/ ≪ 아ᅀᅵ [< 了兒/ɐ.ɲ̟i/ 또는, /ɐ.ɲ̟͡ʑi/] ※ 근데, 계림유사의 한자음이 실은 한국한자음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그러면 전개는 了兒가 아니라 兒에 관한 문제가 된다. 兒: ᅀᆞ/ɲ̟͡ʑɒ/ [← ㅿ/ɲ̟͡ʑ/+ㆍ/ɒ/] ≪ ᄔᅵ/ɲ̟i/ 또는, ᅀᅵ/ɲ̟͡ʑi/ [아래쪽에서 걍..
목숨의 어원 생각 목숨(life) 을 목(모가지)+숨의 합성어로 보기엔 뭔가 관점이 이상하다. 목+숨이 대체 뭐야? 목에 숨이 붙어있다는 건가? 이게 대체 뭔 소리지? 목이 떨어지거나 잘리면 죽으니까 목숨(?)이라는 발상이라면, 목숨은 참수를 설정하고 만들어진 단어라는 건가? 생명을 뜻하는 말이 참수를 배경삼다니… 또 어떤 설에는 죽을 때, 목에 간당간당하게 걸리는 숨을 두고서 목숨(?)이라고 풀이 하던데, 아니… 죽기 전에 골골거리는 거면, 그게 생명인가? 죽기 직전의 호흡곤란이지? 설사 목에 숨이 있다고 하더라도 억지스러운게, 목으로 숨을 쉰다는 발상이 있나? 코로 쉰다거나 가슴/배로 숨을 쉰다고 하지? 숨이 신체의 어딘가에 있다면 목숨이 아니라 콧숨이 되는 편이 훨씬 더 자연스럽지 않을까? 이미 등재돼 있는 단어지만..
도깨비의 어원에 대한 생각 도깨비의 어원에 대해서 생각해봄. 도깨비의 과거형은 돗가비. 그래서 처음에는 도ᇧ아비[←도ᇧ+아비]로 생각해 보았다. 도ᇧ은 돗자리를 말하니 곧, "'사람과 함께 머무른, 오래 묵은 돗자리 귀신'으로 부터 뜻이 확장된 것이다." 정도? 이러한 연유는 다음과 같았다. 예전에 있었던, 꼬비꼬비란 애니의 영향…ㅋ;;"도깨비는 쓰쿠모가미와 비슷하다?!"란 설의 영향. 하지만, 불만족스러웠다. 뜸금 없이 돗자리 귀신을 설정한 것 부터가 좀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두 번째 안은 かみ와 연관시켜보는 것이다. 도깨비<돗가비(tosgabi) ← 돗+가비(kabi) ≒ かみ(kami) 첫 번째 보다는 먼가 그럴 듯 해보인다. 그래서 이 번에는 가비도 "갑+이"로 분해하였다. 그렇게 놓고보니 뭔가 비슷한 단어가 떠오..
사투리적인 발음 및 들림 막귀로 가늠하는 사투리의 발음들. 오류 있음. ㅗ : '오'라고 발음/들림.ㅜ : '우'라고 발음/들림.ㅏ : '아'라고 발음/들림.ㅓ : '어'라고 발음/들림.ㅚ : '외'라고 발음/들림.[입을 오므리고, '에'라고 발음하는 소리임.]ㅟ : '위'라고 발음/들림.[입을 오므리고, '이'라고 발음하는 소리임.]ㅐ : 입을 자연스럽게 벌리고, '외'라는 감각으로 발음.['에'와 '외'가 동시에 들리는데, 그 것들 보다는 좀 낮으면서 말려들어가는 듯한 소리임.]예전에 입을 좌우로 평평하게 벌리고 어쩌라고 배우긴 했는데, 표준어의 정석일지는 몰라도, 평소에는 그렇게 들어본 적이 없는 것 같다. ㅔ : '에'라고 발음/들림.ㅡ : '으'라고 발음/들림.ㅣ : '이'라고 발음/들림.ㆍ : 'ᄋᆞ'라고 발음?['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