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상 (1) 썸네일형 리스트형 상·수(象數)의 길 — 팔괘도(八卦道) 도설 앞서 포스팅 했던 것들을 정리하여 하나로 그렸다. [만들고 보니 저렴한 책표지 같다ㅡㅡ;;] 설명 약간의 설명을 붙이자면 다음과 같다: 후천팔괘(도)의 작성자는 '효'라는 개념을 완전히 무시하고서, 순전히 그 형태만을 빌어쓰고 있다.복희·여와도를 참고한다.최석정의 지수귀문도(地數龜文圖)를 보면 알겠지만, 옛 사람들은 저런 육각형의 벌집 모양을 거북이 등과 동일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낙서가 거북이 등껍질에 그려져 있었다는 설은 바로 이로 부터 연유하였을 것이다. 팔괘는 역(주역이나 기타 점복, 도수나 운수 등등)과 별개이나, 역은 괘를 빌어쓰고 있다.내 지론은 최초 팔상이 후대로 오면서, 점복과 유착하여 팔괘(八卦)라는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고 생각하지만, 근거가 빈약하므로 비약라고 봐도 좋을..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