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43)
무가 속에서 보이는 오행 씻김굿 안에서 보이는 오행이다: 금목은 수화토로 태어난 인생이요 금은 눈안자 눈이 생기고 목은 뼈가 생기고 수는 피가 생기고 토는 살을 만들어 금목수화토라 허여서 인용문에는 화가 빠져있는데, 구술자에 의하면 화는 '힘줄'이란다. 감각기 중에서 눈만 언급되는 것은 아무래도 귀, 코, 입은 단순한 구멍으로 보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근데, 신체 부위의 감각기 중에서 눈만 언급되고 있으니 좀 뜬금 없어 보인다. 만약 오행설이 아니라면 다른 문화권 처럼 눈은 빠지고, '뼈, 피, 힘줄, 살'이라는 네 가지로 정리되었을 것.아무튼 정리하자면; 金 ← 눈 眼字. 눈 ─────木 │ 火 ← 뼈와 힘줄(근육?) ──┼── 土 水 ← 살과 피 참고로, 오행설에 따르면, 금은 피부, 목은 눈(目)과 힘줄, 수는 뼈, 화는 ..
전북 사투리 전북 사투리에 대한 자료를 이런저런 수집하고 있었는데, 흥미를 돋우면서도 적절한 자료는 무가(巫歌)였다.(덕분에 기존 자료들은 모두 어딘가로...) 전북씻김굿저자이영금 지음출판사민속원 | 2007-02-20 출간카테고리인문책소개전라북도 단골굿의 무형문화재인 전금순씨의 가계와 씨끔굿 절차를 ... 우연히 책을 찾아보게 되었는데, 현대(?) 전북 방언에 대한 적절한 사용과 예시를 볼 수 있었다. 구술자인 故전금순 단골은 정읍 태생이며, 말년의 생활은 전주에서 보냈다고 하니,전북 서해안쪽 사투리 구사자라고 할 수 있겠다.
후천팔괘의 정체 이쪽으로 정리됨. 후천팔괘의 성립에 흔히 문왕과 낙서가 언급되지만, 내가 볼 땐 영 아니다. 도무지 팔괘 속에서 낙서 즉 마방진의 찌꺼기 조차 찾아보기 힘들고, 아무런 연관도 없어 보일 뿐이다. 후천팔괘의 문왕과 낙서는 후대의 전설로 봄이 옳다.복희 = 선천 팔괘 - 하도 문왕 = 후천 팔괘 - 낙서 이런 구도는 후대 음양가들에 의하여 관계 맺어졌을 것이다. 마치 오행의 그 것 처럼 특징을 잡듯이 말이다. 참으로 쓸데 없다. 덕분에 팔괘를 접하는 자들이 하나 같이 헛생각에 빠져서 시간을 낭비하고 쓸데 없는 글을 써 남기게 된 계기를 만들었으니 말이다. (그들의 잉론에 귀기울이는 일이란 호수에서 깡통을 낚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 각설하고, 팔괘는 구조상 선·후천 팔괘가 함께 만들어졌거나, 후천 팔괘가 ..
ㅿ소리에 대한 소고 ㅿ소리를 흔히 [z]로 적는다지만, 훈민정음의 가획에 대한 적용을 생각해 본다면, 거센소리[ʰ]를 표기하는데 쓰이지 않았을까 싶다. ┌ ㅈ[c] ─ ㅊ[cʰ] ㅅ[s] ┼ ㅿ[sʰ] (혹, [ʒ]는 아닐까?) └ ㅆ[z] └ ㅄ[ˀs]좀 더 병렬적으로 놓고 본다면;ㅈ[c] ─ ㅊ[cʰ]ㅅ[s] ─ ㅿ[sʰ]그리고 전체적인 구상을 추론해본다면, [z]음은 된소리를 적는데 쓰이는 ㅆ에 할당되는 편이 자연스럽다!ㄱ[k] ─ ㄲ[g] ─ ㅋ[kʰ] ─ ㅺ[ˀk]ㅂ[p] ─ ㅃ[b] ─ ㅍ[pʰ] ─ ㅽ[ˀp]ㅅ[s] ─ ㅆ[z] ─ ㅿ[sʰ] ─ ㅄ[ˀs] 흠... 역시 이 편이 발상의 전개상 깔끔하게 들어간다. ㅆ이 단순한 합용병서였다면, ㅆ음을 邪자를 덧붙이며서까지 친절하게 설명했을 리가 없겠다. * 추가:..
삼신할머니에 대한 소고 삼신할머니가 삼신(三神)과 연결될만한 아무런 요소/신화소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무뇌아처럼 비판적이지 못했던 것은 곧 무관심에 다름이 아닐 것이다. 이런 저런 떠도는 말들을 조합해보면, 삼신할머니란 그저 마고(麻姑)였을 뿐이다. '삼 麻(마)'. 마고의 姑는 다른 곳에서 구나 귀로 전하니, 삼신의 신 즉 검/곰/고마 따위와 연관이 혹 있을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러니 삼신을 다른 형식으로 정확히 옮긴다면, 마고라기 보다는 마신(麻神)이 맞겠다. (우연의 일치에 가깝다고 생각하는데, 우리말 '삼'과 중국의 麻가 정말 우연히 맞아떨어진 듯?) 삼신할머니가 삼신(三神)이 된 건, 비슷한 음으로 재구하려다 보니 엮인 케이스이거나 불교의 영향(삼신제불 등)을 받았거나 할 것이다. 추가로 언어적인 혼동으로 인하여 산신..
시편 1-41편 시편 1-41편 까지로 1-30일 까지다.아직은 미완성이다. 한참 멀었음.[매우매우 느리게 진행 중.] 같이보기시편 1편 (예시)시편 1-41편 까지의 기술과 분배 파일 2017-01-19, PDF 파일: 변경사항 2017-01-06 일부 용어 및 응용 프로그램 변경. 2015-11-29 수정. 2014-12-18 초안. =끝
시편 1편 '일훔(이름)'으로 써있지만, '[주님]'이라고 읽는다. 1일차:1 행복하여라! 그 사람은 악인들의 ᄭᅬ를 ᄯᅡ라 걷지 아니하고, 죄인들의 길에 들지 아니하고, 오만한 자들의 자리에 앉지 아니하며 2 오히려 일훔의 토라를 좋아하고 그분의 토라를 밤낮으로 되새기는 사람. 3 그는 시냇가에 심겨진 나무가 제 ᄯᅢ를 좇아 열매를 맺으며 그 잎이 시들지 아니함 같으니, 하는 일마다 잘되리로다. 4 악인들은 그렇지 않음이여, 바람에 나는 겨와 같아라. 5 그러므로 악인들이 심판 ᄯᅢ에, 죄인들이 의인들의 모임에 감히 서지 못하리로다. 6 의인의 길은 일훔ᄭᅦ서 알고 계시나 악인의 길은 망하기 ᄯᅢ문일세. 신명:4 일훔 너희 하ᄂᆞ님ᄭᅦ서 그들을 너희 앞에서 몰아내실 ᄯᅢ, 너희는 마음속으로 '우리가 의롭기 ᄯᅢ문..
시편 1-41편 까지의 기술과 분배 구성 한달을 29일로 잡고, 나머지 12편을 12달로 쪼개 더하는 식으로 기술하면 될 것 갈다. 번역은 개역한글성경과 가톨릭성경 그리고 새번역성경을 토대로 하면서, 다시 구성하는 방식을 택한다. 된소리는 모두 합용병서를 사용하였다. 단어 사용야훼: 일훔(이름). 주님으로 쓰는 것도 나쁘지는 않다고 생각하지만, 중복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제외하였다.주님: 주님 또는 하나님(왠지 “Adonei 'Ha Adonim'”과 말을 맞춘 듯 해서 일부분에 사용).엘로힘: 하ᄂᆞ님.[하나님/하느님 은 일괄적으로 '하ᄂᆞ님'으로 바꾼다. 이러면 각자 알아서 볼 것 같다. '하ㄴ님'으로 할까도 싶었지만, 너무 나간 것 같아서 기각.]엘: 신.영혼: 넋 같이보기시편 1편 (예시)시편 1-41편 (미완성)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