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음의, 비원순-원순 모음의 상응관계
어… 이게, 중세국어를 반영한 정음의 특성인지, 세종의 성리학적 세계관의 반영인지, 내 착각에 의한 거짓된 관계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아무튼… 2019-09-03: 어떤 한자어들: 깨닫다, 기운 (ㆍ 소릿값에 대해 /ɑ/ 견해를 추가) 비원순-원순 모음표 정음의 모음에서 비원순-원순의 대응성이 보인다는 건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리고 여기에 더하여 'ㆍ, ㅡ, ㅣ'를 첨가할 경우, 그 구도는 이렇지 않을까 싶다. 비원순 원순 비원순 원순 ㅏ/ɐ/ ㅗ/o/ ㅑ/jɐ/ ㅛ/jo/ ㅓ/ʌ/ ㅜ/u/ ㅕ/jʌ/ ㅠ/ju/ ㅡ/ə/ ㆍ/ɒ/ *ㅣ/i/ [※ ㅣ 는 별외.] 예전 그림을 본다면 다음과 같다. 모음조화 참고로 한국어의 모음조화는, 음가의 높낮이에 따라서 대립했던 것이 아닐까 싶다. 곧 양성모음은 그..
훈민정음 홀소리(중성) 음가 상상도
훈민정음에서 말하고 있는, 홀소리(모음) 음가를 상상하여(!) 그림으로 남겨봄(추정도 아님). 기본자(콘셉트)가 정체하였을 경우상상도 기본 모음인 /ㅗ, ㅏ, ㅜ, ㅓ/의 정음 콘셉트가 예나 지금이나 별 차이가 없다고 할 경우다. 또한 '각각의 모음이 음양으로 짝을 이룰 경우, 근처에 있는 소리와 연관되도록 놓여졌다'라고 상정하고서, ㆍ[ɒ]와 ㅡ[ə]를 기반으로 삼고(ㅣ[i]는 중립), ㅗ[o]는 근처의 ㅜ[u]와, ㅏ[ɐ]는 근처의 ㅓ[ʌ]와 연관시켜 그려보았다. 위와 같이 놓고 볼 경우, 만약 ㆍ[ʌ]라면 근처의 ㅡ[ɘ]와, ㅓ[ə]라면 근처의 ㅏ[ɐ]와 연관이 될 만하겠다. 하지만 나는 예나 지금이나 ㆍ[ɒ]로 기준을 잡고 있으며, 정음의 콘셉트에서 /ㆍ/는 /ㅗ, ㅏ, ㅓ/ 보다 후설 저모음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