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퇴계

(2)
퇴계의 성리학(리기·심성 등) 아… 이 블로그도 오래 썼지…… 이번엔 어디로 가지? 아무튼 문득, 퇴계 생각이 났다. 다산은 퇴계의 리기론을 보며, 도심과 인욕이라 하였고, 율곡의 리기론과는 관점이 다르다는 말을 하였다. 그래서 나도 생각했다, 그렇다면 퇴계의 리기론에 새 이름 혹은, 별칭을 붙여주는 편이 더 좋을 것 같다고. 그렇게 염두에 두고서 이름을 붙여본다면, 퇴계의 리/성를 공리사회성(公理社會性, 이하 공성)이라 하고, 다시 그의 기/심을 사기개인심(私氣個人心, 이하 사심)이라고 부른다면 의미가 더욱 정확해질 듯 하다(내용이 다르면, 말을 바꾸라고). [※ 반면 율곡의 리기론은 각각 통리보편성(通理普遍性 즉, 통성)와 국기개별심(局氣個別心 즉, 국심)으로 말해질 수 있다. 사회와 보편이 다르고, 개인과 개별이 다르다. 저 둘..
성리학의[퇴계의] 이기론 성리학의 이기론은 결국 맹자의 성선설을 전제하고, 이를 정당화하기 위한 장치로써 그 기원을 추적할 만하다.인간의 본성은 선하다(성선). [이를 인정하지 않으면 성리학의 심성론이 무너지고, 자동으로 우주론도 무너진다.] 그리고 이러한 이유로 퇴계가 이/기를 각각 '선한 마음(=우주적인 순리로 연장 가능)'과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은 마음'으로 바라본 것에 대하여 충분히 수긍할 만하다. 퇴계는 주자의 아이디어와 그가 전제한 발상을 바로 이해한 것이다.[후학들까지 그렇다는 것은 아니다.] 또, 퇴계의 호발설 역시 성선과 이로 부터의 전개라고 본다면 매우 적절하다. 퇴계의 이론이 논리적인 면으로 부터 문제점이 발생한다고는 하지만 이는 주자의 전제로 부터 멀어졌을 경우에만 그렇다고 할 수 있다. 반대로 율곡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