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지인삼재

(2)
테트락티스(Tetractys) — 천부경(天符經)의 비밀과 해체 그리고 폐기 천부경을 폐기하며… 2016-10-25: 천부경은 삼일신고에서 제시된 '3수를 전면에 내세우는' 아이디어를 배경삼고 있어 보인다. 따라서 그 성립시기는, 빨리 잡아도 삼일신고가 책으로 펴져 널리 알려지기 시작한 1912년 이후일 것이다. 즉 이유립이 실토(?)한 1916-17년이 실제 제작된 시기일 가능성이 높겠다. 최근에는 1913년발을 주장하기도 하지만……. 어찌되었건 1912년 이전에는 나올 수 없는 물건임은 확실하다. 천부경의 저자(이유립? 정훈모? 등)이 정확히 누구인지는 모르겠지만, 그가 테트락티스를 바로 알았다고 보기는 힘들 것 같다. 사실 천부경은 10수를 논한다기 보다는 전통적인 9수를 바탕으로 하는 면이 더 강하다. 말하자면 10수 운운은 무늬만 그러하며, 내용물은 영 아니기 때문이다...
훈민정음 홀소리(중성) 음가 상상도 훈민정음에서 말하고 있는, 홀소리(모음) 음가를 상상하여(!) 그림으로 남겨봄(추정도 아님). 기본자(콘셉트)가 정체하였을 경우상상도 기본 모음인 /ㅗ, ㅏ, ㅜ, ㅓ/의 정음 콘셉트가 예나 지금이나 별 차이가 없다고 할 경우다. 또한 '각각의 모음이 음양으로 짝을 이룰 경우, 근처에 있는 소리와 연관되도록 놓여졌다'라고 상정하고서, ㆍ[ɒ]와 ㅡ[ə]를 기반으로 삼고(ㅣ[i]는 중립), ㅗ[o]는 근처의 ㅜ[u]와, ㅏ[ɐ]는 근처의 ㅓ[ʌ]와 연관시켜 그려보았다. 위와 같이 놓고 볼 경우, 만약 ㆍ[ʌ]라면 근처의 ㅡ[ɘ]와, ㅓ[ə]라면 근처의 ㅏ[ɐ]와 연관이 될 만하겠다. 하지만 나는 예나 지금이나 ㆍ[ɒ]로 기준을 잡고 있으며, 정음의 콘셉트에서 /ㆍ/는 /ㅗ, ㅏ, ㅓ/ 보다 후설 저모음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