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북사투리

(3)
사투리적인 발음 및 들림 막귀로 가늠하는 사투리의 발음들. 오류 있음. ㅗ : '오'라고 발음/들림.ㅜ : '우'라고 발음/들림.ㅏ : '아'라고 발음/들림.ㅓ : '어'라고 발음/들림.ㅚ : '외'라고 발음/들림.[입을 오므리고, '에'라고 발음하는 소리임.]ㅟ : '위'라고 발음/들림.[입을 오므리고, '이'라고 발음하는 소리임.]ㅐ : 입을 자연스럽게 벌리고, '외'라는 감각으로 발음.['에'와 '외'가 동시에 들리는데, 그 것들 보다는 좀 낮으면서 말려들어가는 듯한 소리임.]예전에 입을 좌우로 평평하게 벌리고 어쩌라고 배우긴 했는데, 표준어의 정석일지는 몰라도, 평소에는 그렇게 들어본 적이 없는 것 같다. ㅔ : '에'라고 발음/들림.ㅡ : '으'라고 발음/들림.ㅣ : '이'라고 발음/들림.ㆍ : 'ᄋᆞ'라고 발음?['오..
기억 속 전북사투리 적어둔다고 하다가 까먹은 것도 좀 있지만,내가 육성으로 직접 접할 수 있는 수준에서는 거의 다 나온 듯? 일단 종료일까? 이러저러하게 내가 직접 들었던 단어들이다. 생각나면 계속 추가 예정. 단, 연령·성별·출신지(전북도를 벗어나진 않음)가 무시되기 때문에 신뢰성은 떨어진다.이러저러한 말들 ㄱ ㄴ, ㄷ-ㄹ, ㅁ ㅂ, ㅅ-ㅿ, ㅇ-ㆁ, ㅈ-ㅊ, ㅋ-ㅌ-ㅍ-ㅎ-ㆆ, ㄲ-ㄸ-ㅃ-ㅆ-ㅉ. ㄱ 가새 가위.【‹ᄀᆞᅀᅢ…←ᄀᆞᇫ-+-개】 가시내 계집아이. 가심 가슴. 가지가다 가져가다.【가지가다←가지-+(-어)+가-】 가찹다 가깝다. 갖과 [가꽈] 가지고 와(갖고 와). 갈쳐둘라고 =갈켜둘라고. 가르쳐주라고. 갈판혀? 갈 거야? 갖고다 [가꼬다] 가지고 오다.【‹갖고오다←갖-+고+오-】 개바서 가벼워서. 개볍다 가볍..
-ː이 '-ː이'는 흔히 '-잉'으로도 알려져 있는 늘어지는 소리다.천천히 가ː이허지 마ː이 주로 명령·청유형 종결어미 '-아ː'에서 쓰ᅟ인다.[의문형에서는 들어보지 못했다.] 그런데 내 귀에는 '-잉'이라고 들린 적이 대체로 없다.[전무하다고 봐도 무방하며, 그렇게 발음하지도 않는다.] 하지만 타지역 사람들은 '-잉'으로 들린다니 내가 놓치는 뭔가가 있나보다. 그래서 생각해 볼 때, 가능성 있는 건 다음과 같지 않을 까 싶다.허지 마ː이ᅌᅵ[-- maː.i.ŋi] 즉, 말이 늘어지면서 '이[i]' 소리가 'ᅌᅵ[ŋi]'로 변하는 것인데(목에 힘이 들어가며서 자연스럽게 강조하듯이), 이 때, 뒷소리가 약하게 나오면서 '-ㅣ' 소리가 거의 들리지 않게 되므로 마치 '-잉(이ᇰ)' 처럼 들리게 되는 것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