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추이 (1) 썸네일형 리스트형 파열음 ㅂ↔ㄱ 교체 한국어에서 파열음 ㅂ↔ㄱ 의 교체 를 PK-교체·PK-대응 등이라고 부르는 것 같다. 음운 변동은 마구잡이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규칙에 따라서 일어나며,자·모음의 결합으로써 변하는 경우가 많다. PK-교체도 예외는 아니라서 주로 후설 모음과 결합했을 경우에[특히 (중)고모음 o/u], 음향상의 착각으로 발생한다고 말해진다(자세히는 모름). 보기는 다음과 같다. 거붑/거북, 땡삐/땡끼, 불다/굴다, 붚/북, 솝/속… 보기 역시 대체로 후설 모음과의 결합으로 발생하는 것 처럼 보이는데, 선·후행이 모두 영향을 주는 것 처럼 보인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대개 중고모음 이상이라는 것? 다른 예를 들자면, 지역어(전북)인 버큼/거품 으로, 후설 모음인 ㅓ/ʌ/와 접하여 ㅂ↔ㄱ 교체가 일어났다고 볼 수 있..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