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니코드

(2)
유니코드 표기 예전에 만들었던 것을 좀 더 다듬었다. 이 걸로 다른 걸 할 계획이긴 하지만,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다. 일단은… 중세[고대?]〜현대 한국어의 로마자유니코드 표기 ? 기본 자모 ㄱkg ㄴn ㄷtd ㄹɾl ㅁm ㅂpb ㅅsɕ ㅿɲ̟͡ʑ ㆁŋ ㅈt͡ɕ ㅊʨʰ ㅋkʰ ㅌtʰ ㅍpʰ ㅎ* K k/g N n T t/d R r/l M m P p,b Ŝs Ĉc Ṇĵ ṇj +/Ŋ ŋ Ṭc ḍĵ Ṭcʰ tĉ Kʰ kʰ Tʰ tʰ Pʰ pʰ H h/ĥ ㄲg ㅥɲ̟ ㅥ ᄿʑ ㅱw ㅸɸ ㅆs͈ ㅆɕ ㅇ· ㅉd͡ʑ ㅉʨ͈ ㄲk͈ ㄸt͈ ㅃp͈ ㆅɦ* Gg ⁻k Ɲɲ nʲ+ Gn gn Ĵ ĵ Mw -w Ff vh Sˣ sˣ C c -/X x Ḍĵ dj tcˣ Kˣ kˣ Tˣ tˣ Pˣ pˣ Ĥĥ xh ㄲ↓ ㄵ↓ ㅭ* ㅆz ㆆɂ ㅹ..
ㅇ/ㆁ — 한글의 어떤 불운함. 2016-04-09의미 없는 생각이었다. ㅇ은 일상적으로 이미 죽어서 끝났다. 2015-10-11 한글의 불운함 중 한가지를 꼽아보자면, 흠…생각해 보건데, 글자를 만들어주어도 먹지 못하고 방치하다가 날려버리게 된 일일 것이다. ㅇ 말이다. ㅇ은 숫자로 치자면 0에 가까운 녀석인데도 불구하고 제대로 써먹지를 못하고 있다.심지어 그냥 놔두면 다행인데, 다른데다 써버리기까지 하고 있다. 그러니까 이런 상황인 것이다.1, 2, 3 … 9, 0, 11, 12 …[0을 쓰지 못하고 방치하다가 결국에는 10에도 0이 들어간다는 것에 착안하여 10 대신 0으로 쓰고 있는 상황이다.] ㅇ/ㆁ내가 생각하기로, 세종이 자형을 디자인하였을 때, ㆁ 보다는 ㅇ을 먼저 만들었을 것 같다. 그리고 '꼭지'에 값을 매겨, 소릿값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