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각 (3) 썸네일형 리스트형 풀어쓰기(반각) 전 처럼 한글 풀어쓰기 개량안의 규정을 따르는 키보드 배열이다. 저ᄂ 처러ᄆ 하ᄂ그ᄅ 푸ᄅ・ᅥ쓰기 개랴ᄋ・ᅡᄂ・ᅴ 규저ᄋ・ᅳᄅ 따르느ᄂ 키보드 배・ᅧᄅ・ᅵ다. 요즘 보니, 신세벌식의 원작자가 등장하여 뭔가 일으켜세우려나 보다. 관망하는 입장이지만 잘 되었으면 한다. 아무튼 들락날락하는 와중에 받침 ㅆ 관련으로 뭔가 개선거리가 떠올랐다. 그래서 만들어봤는데… 키보드 레이아웃 받침 ㅆ이 기본 키열(1-3단)에서 사라진 것과 함께 전체적으로 미세기 처럼 동작하도록 바뀌었다. 확실히 받침 ㅆ이 빠지니 보기에도 좋다. 다만, 익숙치 않은 경우 빠르게 입력하면 손꼬임이 발생하는 것 같다. 사용하기자모 입력 1:기본적인 자모음 28자를 반각 입력한다.자음(14자): ᄀ, ᄂ, ᄃ,.. 풀어쓰기 정음(반각·복벌 & 반/전) 첫 번째는 전에 써봤던 글[한글 풀어쓰기 개량안] 대로 반각(U+FF65–FFDC 중 한글부) 입력을 해보기 위한 자판이다.・/ᄋ 관련에 따른 버그로 쓰기가 힘들다. 키보드 레이아웃 신세벌식 형태의 경우 작동 구조상 모음부(왼 편)의 아랫글쇠쪽에는 받침이 들어갔다. 사용하기정음에 익숙하다면 쉽게 쓸 수 있다. 복벌식으로 두벌식 형태도 겸하여 쓸 수는 있지만 개량과는 무관하게 단순한 입력지원이다. 첫소리 첫변은 지원하지 않는다. 두벌식이나 세벌식 형태의 경우 몇몇 글쇠가 다른 타입을 지원하기 위해서 죽어있을 수 있는데, 일단 특정 형태로 사용하면 다시 작동하여 쓸 수 있다. ㅇ과 ㅋ 그리고 ㅎ: 개량안에 따라서 첫소리 ㅇ은 가운뎃점[가나 가운뎃점이다. 일반 가운뎃점은 다음 글자에 모음이 나오지 않는다]으로.. 한글 풀어쓰기 개량안 컴퓨터에서 한글 풀어쓰기에 대한 개량안이다.이 문서에는 부분적으로 옛한글를 사용하고 있으며, 나눔옛한글 갈은 옛한글 지원 글꼴이 필요하다. 분철 표기보통 풀어쓰기에서 사용하는 연철을 쓰지 않고, 모아쓰기 처럼 분철 표기한다. 대신 기존의 풀어쓰기와 달리 몇 가지 규칙을 적용할 것이다. 반각 표기한글풀어쓰기시 가장 큰 문제는 한글 자모가 전각문자라서, 글자가 옆으로 퍼지며 늘어지기에 가독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전각 대신 반각을 사용하여, 글자 폭을 줄인다.(기존) ㅎㅏㄴㄱㅡㄹ ㅍㅜㄹㅓㅆㅡㄱㅣㅅㅣ ㄱㅏㅈㅏㅇ ㅋㅡㄴ ㅁㅜㄴㅈㅔㄴㅡㄴ (개량) 하ᄂ그ᄅ 푸ᄅ・ᅥ ˀ스기시 가자ᄋ 크ᄂ 무ᄂ제느ᄂ [Halfwidth and fullwidth forms.] 가나 가운뎃점(・)의 사용가운뎃점은..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