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정운 (1) 썸네일형 리스트형 동국정운의 병서 활용법 동국정운에서 맑은소리와 흐린소리의 구분을 위해서 병서를 활용한 것은 영리한 선택이라고 볼 수 있다.즉, 병서를 활용한다면, 이상적인 형태 안에 현실적인 정보를 포함시킬 수가 있다. 다음과 같은 예문이 있다. 二ᅀᅵᆼ〮時씽 三삼十씹〮分분 이 것은 이렇게 읽힐 수가 있다. ɲ̟͡ʑi.zi sɐm.zip̚.pun [이하 성조는 고려치 않음.] 하지만, 당대나 지금이나 한국어는 맑은소리-흐린소리의 대립이 내세우는 언어가 아니다.따라서 이상적으로 만들어진, 위와 같은 표기법과 독음은 현실적으로 문제가 있을 수 있겠다. 그런데 정음을 사용하면서, '병서 → 흐린소리'라고 정의한다면, 이 문제로 부터 한 발 비켜가며, 다음과 같이 읽을 수도 있게 된다. 二ᅀᅵᆼ〮時씽 三삼十씹〮分분 (이상) ᅀᅵᆼ〮 싱 삼 십〮 분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