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조합형 -ㅇ/ㆁ에 대한 의미 없는 것들 2016-04-09T10 자고 일어났더니 아래의 주장이, 별 의미 없는 생각임을 알게 되었다. 코드는 기호에 부여된 것이지, 언어적 혹은 음성적으로 부여된 것은 아니기 ᄯᅢ문이다. 생각해 보면 처음 만들어졌을 ᄯᅢ와 달리 받아들여지는 자모들도 많았다. ㅇ에 애착을 가지다 보니 착각을 심하게 하였던 것이다.ㅠㅠ ㅇ(zero)를 말하고 싶다면 그냥 "이 ᄭᅳᇀ소리 ㅇ은 0 입니다."라고 선언하면 될 일이다. 다만 부호적·일상적으로는 이미 죽어서 ᄭᅳᇀ난 것은 확실해 보인다. 정말로 이름 처럼 옛한글이다. 더 이상 돌아오지 않음! 이런 이유로 ᄡᅳᆯ데 없던 생각은 정리가 완료되었다. =ᄭᅳᇀ ㅇ은 이미 죽었지만, 미세기에서는 살려야겠다.ㅋㅋ 2016-04-09T01 일전에 ㅇ/ㆁ 관련으로 글을 쓴 적이 있다...
ㅇ/ㆁ — 한글의 어떤 불운함. 2016-04-09의미 없는 생각이었다. ㅇ은 일상적으로 이미 죽어서 끝났다. 2015-10-11 한글의 불운함 중 한가지를 꼽아보자면, 흠…생각해 보건데, 글자를 만들어주어도 먹지 못하고 방치하다가 날려버리게 된 일일 것이다. ㅇ 말이다. ㅇ은 숫자로 치자면 0에 가까운 녀석인데도 불구하고 제대로 써먹지를 못하고 있다.심지어 그냥 놔두면 다행인데, 다른데다 써버리기까지 하고 있다. 그러니까 이런 상황인 것이다.1, 2, 3 … 9, 0, 11, 12 …[0을 쓰지 못하고 방치하다가 결국에는 10에도 0이 들어간다는 것에 착안하여 10 대신 0으로 쓰고 있는 상황이다.] ㅇ/ㆁ내가 생각하기로, 세종이 자형을 디자인하였을 때, ㆁ 보다는 ㅇ을 먼저 만들었을 것 같다. 그리고 '꼭지'에 값을 매겨, 소릿값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