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끔일지/메모장

옷(육신)

영혼은 육신이란 옷을 입는다.


지금의 가톨릭은, 내부적으로 어디까지 전승되고 있을까?


나는 현재의 개신교는 과거로 부터 상당히 많은 부분을 잃어버렸다고 생각하는데, 특히 수도원으로 부터 얻어질 수 있는 것들은 대부분 소실되었다고 생각한다. 근본적으로는 개신교가 분리되기 전부터, 교회가 신비적인 것을 배척하는 경향을 가지면서 점차적으로 잃어버렸다고 생각되지만, 뭐 잘은 모르는 일이고…


난 고등 종교가 여타의 무속이나 미신 보다도 강력할 수 있었던 건 교리나 교단의 정비도 있었지만,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좀 더 체계화된 방식을 가르칠 수 있었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여기서 기술적인 측면이란 것은, 인간의 종교성을 효과적으로 고양시키거나, 그 종교가 지니는 세계관을 설득력있게 제시하는 방법론 따위를 말하겠다.




대체로 이 기법에는 몇 가지 공통적인 양식을 가지는데, 아마도 인간으로서의 공통점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겠다. 그 중에 내가 알고 있는 이 양상은 최소한 3단계의 다른 상태를 거칠 수 있다고 생각하며, 그 것은 다음과 같다.


의식화 → 객관화 → 자기-타자화

[화살표는 일방적인 진행표시가 아님.]


위의 객관화 가 진행되면, 낯선 나(다른 나)를 만날 수 있는데, 그 낯설음은 아마도 정신과 육신 사이의 개념·시간차로써 발생할 것이다(뇌과학쪽 논문을 찾아본다면 결과가 있을 것 같다. 찾아보진 않음;;).


이 낯선 나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익히 말해지는 '육신으로의 나'가 되겠다. 다석이 주장하였던 '몸나'라는 개념(여기서는 '몸나희'로 변형)이 여기에 해당한다고 생각되는데, 다석이 이론상으로 그렇게 주장한 건지 아닌지는 잘 모르겠다[다석의 주장은 너무 이원론적이라서, 이론적으로만 접근한 결과이거나 계통상(?) 다를 수 있겠다].


아무튼 이 몸나희는 추우면 옷을 입고, 더우면 옷을 벗으며, 배고프면 음식을 찾아먹고, 졸리면 잠을 잔다. 불교라면 이를 두고서 습기에 젖어 있다고 할 것이다. 또한 이 몸나희는 거짓 나 라고도 불릴 수 있는데, 일견 그렇게 보이는 것이, 보이는 나에 비하여 느껴진[느낌들의] 나는, 마치 사전에 주어진 패턴 대로 움직이는 것 처럼 느껴질 수가 있다.


그리고 이 점에서 그리스도교의 죄성(원죄)가 제시될 수 있는데 즉, 이 몸나희는 내 바람과는 다르게 온갖 욕망에 쩔어있으면서, 여기에 맞추어서 자동적으로[반사적으로] 행동하는 것 처럼 보여지기 때문.


다석의 몸나에 접미사를 붙여 몸나희로 변형하였다. 접미사 -희 라는 건 '너희'할 때의 그 -희다. 즉 복수 표기. 따라서 느껴진 나 라는 건 여러 느낌들의 총체로 부터 하나의 느낌으로서 얻어질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느낌들의 느낌.




여기까지 주절주절거린 이유는, 이렇게 까지 말하고서야 만이 비로소, 성경 속의 '육신이란 옷'의 설명이 효과적으로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전 처럼 구도를 잡는다면 이렇게 된다.

영혼(*)
│┌ 정신(1)
└┴ 육신(+)

  • 영혼 : 사는 사람(온나).
  • 정신 : 보이는 나(의식).
  • 육신 : 느껴진 나(몸나희).


이렇게 놓고 보면, 성경 속에서의 2분설(영혼-육신)이나 3분설(영-혼-육)은, 어떻게 기술하느냐의 차이지 근본적으로는 별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예전에 그노시스파에서는 이런 걸로 구원을 말했었다(요즘도 이런 걸로 장사하는 사람들이 있는 것 같지만…;). 나는 그러한 경지에 전혀 오르지 못하는 인간이라서 뭐라 확답을 할 수는 없지만, 옛 사람들의 기록을 보면, 저런 식의 방법을 통해 정신과 육신을 분리하여, 말 그대로 정금과 같이 정련하여 자신을 닦아내는 방법론들을, 어떤 식으로든 제시했을 것이라 생각된다(단, 그노시스파는 내적 결함으로 인해 좀 괴상하게 변해갔다). 이게 좀 이상해도, 자기암시에 가까운 어떤 순응성이라고 해야하나? 하여튼 그런 현상이 있는 것 같다.

물론 그리스도교의 구원론은 원칙상… 저런 곳에는 없다. 정금이든 머든 그 것 자체는 주님의 의로움과는 무관하니까.

다만… 바울은 이러한 방법론들을 알고 있었고 또, 실제로 체험도 한 사람이다. 바울 사도만 그랬을까? 성경 속 다수의 인물들이 다들 하늘에(?) 들락날락거렸던 건 아닐까 싶은데? 아무튼 그런 사람들이 그런 사람들을 대상으로 글을 남겼으니, 처음 부터 아무런 정보도 없는 현시대 교우들과의 시선과는 좀 차이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보조적인 정도의 교육은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흠, 최근의 크리스천 요가라는 게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는 전혀 모르겠지만, 좀 도움이 되지 않을까? 굳이 '크리스천'을 붙여야 하는 지는 아직도 모르겠지만.


덧.

  • 다석의 '얼나·맘나'란 용어는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넣지 않았고, '몸나'는 변형함.
  • 다석은 그리스도교의 죄성(원죄)를 두고서, 불교의 삼독과 엮었지만, 내가 볼 때는 차라리 습기와 더 가까움.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