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운의 하느님관은 불연기연(不然其然)에 입각해서 전개되는데, 이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유형을 갖는다.
불연 |
아니다 |
부정적 |
추상적 |
지기 |
기연 |
그렇다 |
긍정적 |
구체적 |
천주 |
즉, 하느님으로서 수긍하고 긍정하는 것을 이름하여 천주[天主, 하느님]이라 부르고, 하느님으로서 수긍되지 않고 부정하게 되는 것을 지기(至氣)라 이른다.
하지만 지기와 천주는 별개가 아니다. 단지 인간이 지닌 인식의 한계에 따라서 분별되어지는 사항일 뿐이라서, 어긋나고 다르게 보이는 것들이라도 궁극적으로는 통일되어서 하나로 나간다.
내 마음이 곧 네 마음
귀신이라는 것도 나다
등등 사건과 물건이 모두 지기의 작용이라면, 그 것 역시 합치하는 지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태극도설에는 '無極而太極'이란 유명한 문구가 등장하며, 이는 태극의 궁극성을 보장하기 위한 전제다. 수운이 말하는 무극은 여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는데, 그의 개념과 엮어 본다면,
- 지기 ← 무극
- 천주 ← 태극
즉 '지기가 곧 천주'[지기면서 천주]라는 말로, 언뜻 보기엔 하느님의 신격이 훼손되는 듯이 보이지만, 결국엔 궁극자로서의 하느님을 길이길이 보전하면서도, 그의 소산들에게까지 덕을 입히게 된다.
이른 바 무극대도(無極大道)인 것이다.
덧.
지기와 천주 간의 우열은 없겠지만, 수운의 주문에서는 선후 관계가 있어보인다. 실제적으로도 그렇게 생각했는지는 모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