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끔일지/메모장

한글 풀어쓰기 개량안

컴퓨터에서 한글 풀어쓰기에 대한 개량안이다.

이 문서에는 부분적으로 옛한글를 사용하고 있으며, 나눔옛한글 갈은 옛한글 지원 글꼴이 필요하다.


분철 표기


보통 풀어쓰기에서 사용하는 연철을 쓰지 않고, 모아쓰기 처럼 분철 표기한다.
대신 기존의 풀어쓰기와 달리 몇 가지 규칙을 적용할 것이다.

반각 표기


한글풀어쓰기시 가장 큰 문제는 한글 자모가 전각문자라서, 글자가 옆으로 퍼지며 늘어지기에 가독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전각 대신 반각을 사용하여, 글자 폭을 줄인다.

(기존) ㅎㅏㄴㄱㅡㄹ ㅍㅜㄹㅓㅆㅡㄱㅣㅅㅣ ㄱㅏㅈㅏㅇ ㅋㅡㄴ ㅁㅜㄴㅈㅔㄴㅡㄴ
(개량) 하ᄂ그ᄅ 푸ᄅ・ᅥ ˀ스기시 가자ᄋ 크ᄂ 무ᄂ제느ᄂ

[Halfwidth and fullwidth forms.]


가나 가운뎃점(・)의 사용


가운뎃점은 구분이 필요한 곳 어디에나 쓰일 수 있지만, 초성 ㅇ을 넣지 않는 대신 무조건 강제한다:

・ᅩ느ᄅ 바ᄆ・ᅦ도 벼ᄅː・ᅵ 바라ᄆ・ᅦ 스치・ᅮᄂ다.

[・: U+FF65 (halfwidth katakana middle dot). ·: U+00B7 (middle dot)은 일반 기호로 사용.]


된소리 표기


ˀ 기호를 사용

기본은 합용병서 기호로 표기한다.

미ˀ브다

[ˀ: U+02C0 (modifier letter glottal stop).]


ㅅ합용병서를 사용
선택에 따라서는 기존의 각자병서가 아닌, 근대 처럼 ㅅ합용병서를 사용한다:

・ᅨᄉ브다


쌍자음 표기

초성
필요시, 초성 자음에는 조합된 쌍자음 대신 초성 자음을 단순히 붙여쓴다.

(기존) 찌ᄇ찌ᄇ하다
(개량) ᄉ지ᄇᄉ지ᄇ하다

[선택사항이다.]


종성
종성 자음에는 조합된 쌍자음 표기를 그대로 사용한다:

・ᅵᄊ다


유성음 표기


이 부분은 한국어와 거리가 있는데, 왜어유해의 경우 일본어 표기시 유성음에 ㅇ합용병서를 사용한 전력이 있다:

ᅁᅩ마[ごま]


근대에는 이를 변형하여 가나의 반탁점을 이용하였다.

 ゚고마[ごま]


위 두 가지를 절충하여 유성음 표기에 '°' 기호를 사용한다.

°고마[ごま]

[°: U+00B0 (degree symbol). 같은 그룹에 있는 º(ordinal indicator; U+00BA)와는 다르다.]

각도 기호로 U+FF9F의 반각 반탁음 기호를 대치하는데, 이는 반각 반탁음 기호 사용시 앞의 글자와 결합되어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기존 정음의 방식대로 나란히 쓰는 것도 허용할 수 있겠다.

꼬마[ごま]


ㆍ 표기


반각 한글에는 옛한글 자모가 없다 따라서 혹, ㆍ를 표기한다면, 반각 라틴 알파를 사용한다.

ᄆɑʐɑᄆ

[ɑ: U+0251 (latin small letter alpha).]


옛 한글 자음 표기


옛한글 자모가 없기 때문에 기호나 억음부호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ㅿ -> ʐ  [ 또는, `ᄉ. ]
ㆁ -> ŋ  [ 또는, `ᄋ. ]
ㆆ -> ɂ  [ 또는, `ᄒ. ]


장음 부호(ː) 사용


분철 표기 그대로 사용해준다.

벼ᄅː
・ᅯᄂː하다


붙임표(-)의 사용


알파벳 처럼 사용해준다. 기존 자모의 줄이 달라졌을 때 붙여주는 역할이다:

배ᄆ, 너ᄆ-
ᅮ 기ᄅ다.


예문


뱀, 너무 길다.
배ᄆː, 너무 기ᄅː다.


서시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기를,
오늘 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주ᄀ느ᄂ 나ᄅˀ가지 하느ᄅ・ᅳᄅ ・ᅮ러러
하ᄂ 저ᄆ 부ˀ그러ᄆ ・ᅥᄡ기르ᄅ
・ᅩ느ᄅ 바ᄆ・ᅦ도 벼ᄅː・ᅵ 바라ᄆ・ᅦ 스치・ᅮᄂ다.


투명드래곤

"크・ᅡ・ᅡ・ᅡ・ᅡ"

드래고ᄂ주ᄋ・ᅦ서도 최ː가ᄋ・ᅴ 투며ᄋ드래고ᄂ・ᅵ ・ᅮᄅ부지ᄉ・ᅥᄊ다
투며ᄋ드래고ᄂ・ᅳᄂ 조ᄅ라ˀ자ᄋˀ세서 드래고ᄂ주ᄋ・ᅦ서 최ː가ᄋ・ᅵ・ᅥᄉ다
시ᄂ・ᅵ나 마조ᄀ도 ・ᅵ겨ᄊˀ다 투며ᄋ드래고ᄂ・ᅳᄂ
새ː사ᄋ・ᅦ서 하나・ᅧᄊ다 ・ᅥˀ재ᄊ드ᄂ 걔가 ・ᅮᄅ부지ᄉ・ᅥᄊ다

"・ᅳ・ᅡᄀ 제ː기라ᄅ 도마ᄋ가자"

바ᄅ로ᄀ드ᄅ・ᅵ 도마ᄋ가ᄊ다 투며ᄋ드래고ᄂ・ᅵ ˀ자ᄋ・ᅵ・ᅥᄊˀ다
그래서 바ᄅ로ᄀ드ᄅ・ᅳᄂ 도마ᄋ가ᄂ 거ᄉ・ᅵ다

ˀ계ː소ᄀ《'투며ᄋ드래고ᄂ' 제1화》


같이보기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