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비관리정음

풀어쓰기 정음(반각·복벌 & 반/전)

Tolhisk 2015. 9. 24. 18:51

첫 번째는 전에 써봤던 글[한글 풀어쓰기 개량안] 대로 반각(U+FF65–FFDC 중 한글부) 입력을 해보기 위한 자판이다.

  • ・/ᄋ 관련에 따른 버그로 쓰기가 힘들다.


풀어쓰기_정음_반각복벌-151112T21.ist


키보드 레이아웃


신세벌식 형태의 경우 작동 구조상 모음부(왼 편)의 아랫글쇠쪽에는 받침이 들어갔다.


사용하기

정음에 익숙하다면 쉽게 쓸 수 있다. 복벌식으로 두벌식 형태도 겸하여 쓸 수는 있지만 개량과는 무관하게 단순한 입력지원이다.


첫소리

첫변은 지원하지 않는다. 두벌식이나 세벌식 형태의 경우 몇몇 글쇠가 다른 타입을 지원하기 위해서 죽어있을 수 있는데, 일단 특정 형태로 사용하면 다시 작동하여 쓸 수 있다.


ㅇ과 ㅋ 그리고 ㅎ:

개량안에 따라서 첫소리 ㅇ은 가운뎃점[가나 가운뎃점이다. 일반 가운뎃점은 다음 글자에 모음이 나오지 않는다]으로 대치되었으며, ㅋ은 윗글쇠로 입력한다.


ㅎ은 일부 자음 뒤에 오면 ʰ으로 바뀌어 입력된다. 옛한국어 표기에 좀 문제가 있지만, 초/종성이 같은 글자니 탈출 뒤 입력할 수 있다.


된소리 입력:

개량안 대로 첫소리의 각자병서가 아닌 'ㅅ-' 합용병서로 표기하므로, 세벌식 형태에서는 입력 자체를 지원하지 않는다. 굳이 써야한다면, 자음 나열로 처리.

ᄉ가나리・ᅢᄀ저ᄉ


유성음(흐린소리) 입력:
개량안에 따라 각도 기호를 써서 표기한다.

°(U) + 가 → °가[ga]


치두음 & 정치음 입력:

방식 자체는 정각용 정음 유사하지만, 그 것과 달리 ㄱ과 연동하여 3타로 입력해야만 한다. 그리고 반각 자음이 없는 관계로 발음기호로 대신하였다.

ㄱ + ㅈ + ㄱ → ʦᅡ  ( ᅎᅡ. )


가운뎃소리

세벌식 형태의 경우 모음부의 갈마들이 동작 때문에 이중모음인 'ㅘ, ㅙ, ㅝ, ㅞ'는 가변으로만 입력할 수 있다.

・ + <조합중>ᅴ(o) + ᅡ → ・ᅪ


홀소리나열 입력:

윗글쇠를 모음/받침 입력으로 써버렸기 때문에 입력 방법이 좀 복잡해졌다.

・ + <조합중>\{ᅩᅩ} + ⎋(`) + ᅵ(D) → ・ᅩᅩᅵ


가운뎃소리변경 글자 입력:

그림과 달리 윗글쇠는 ᄎ을 입력하며, 가변 글자는 기호 입력으로 넣는다.

⬚(t) + ᄎ(o) → ᅴ


끝소리

겹받침 입력의 경우 받침끼리의 조합은 안되고, 끝변 입력으로만 가능하다. 뭐, 풀어쓰기니 자음 나열로 엇비슷한 효과를 볼 수는 있다.

・ᅥ + ョ(/) + ᄀ(x) → ・ᅥᄡ다  ( ョ: 끝변을 위한 예비 글자. )
・ᅡᄂᄌ다(jfsrua)


끝변시 받침을 먼저 입력해도 좋다.


방점

전통적인 방점과 톤 기호로 표기하는 법을 두어보았다.

마 + <조합중>`{◌〯}(u) + ᄅ → 마〯ᄅ
미 + <조합중>`{◌́}(8) → ᄆ̋ᅵ
  • 거성: ◌〮 → ◌́.
  • 상성: ◌〯 → ◌̌.


방점은 2자 마다, 톤 기호로는 첫소리마다 찍어주는 것이 그럭저럭 나아 보인다.


예문

이런저런 예문들.


서시:

주ᄀ느ᄂ 나ᄅᄉ가지 하느ᄅ・ᅳᄅ ・ᅮ러러
하ᄂ 저ᄆ 부ᄉ그러ᄆ ・ᅥᄡ기르ᄅ
・ᅩ느ᄅ 바ᄆ・ᅦ도 벼ᄅː・ᅵ 바라ᄆ・ᅦ 스치・ᅮᄂ다.


애국가 3절:

가・ᅳᄅ 하느ᄅ 고ᄋ화ᄅ하ᄂ데 노ᄑ고 구르ᄆ ・ᅥᄡː・ᅵ
밝・ᅳᄂ 다ᄅ・ᅳᄂ ・ᅮ리 가스ᄆ ・ᅵᄅ펴ᄂ다ᄂ시ᄆ・ᅵᄅ세.


훈민정음 언해본:

옛한국어 표기는 억지로 몰아넣은 것이라서 모양새가 별로다.

나라〮ᄉ마〯ᄅᄉᄉɑ미〮 中國・ᅦ〮 다ᄅ・ᅡ〮
文字・ᅪ〮로〮 서르 ᄉɑᄆɑᄉ디〮 ・ᅡ니〮ᄒɑᄅᄉᄉ〮ɑᅵ
・ᅵ〮러ᄂ 져ᄂᄎɑ〮로〮 ・ᅥ리〮ᄂ 百姓・ᅵ〮
니르고〮져 호〮ᄅq배〮・ᅵ셔〮도〮
ᄆɑᄎɑ〮ᄆ내〯 제 ᄇᄃ〮ᅳ드〮ᄅ 시러〮펴디〮
모〯ᄃʰɑᄅq노〮미〮 하니〮라〮
내〮 ・ᅵ〮ᄅɑ〮ᄅ 爲ᄒɑ〮・ᅣ〮・ᅥ〯・ᅧᄉ비〮너겨〮
새〮로〮 스〮므〮ᄅ・ᅧ드〮ᆲ字ᄅɑᄅ ᄆɑᅵŋᄀɑ노니
사〯ᄅɑᄆ마〯다〮 ᄒɑ〯ᅵ・・〮ᅧ수〯fᅵ〮니겨〮 나〮ᄅ로〮 ᄇᄉ〮ᅮ메〮
便安킈〮ᄒɑ고〮져〮 ᄒɑᄅq ᄉᄃɑᄅɑ미〮니라〮.


다른 형태:

ᄂ́ᅡ라ᄉᄆ̌ᅡᄅᄉᄉɑᄆ́ᅵ 中國・́ᅦ 다ᄅ・́ᅡ
文字・́ᅪᄅ́ᅩ 서르 ᄉɑᄆɑᄉᄃ́ᅵ ・ᅡᄂ́ᅵᄒɑᄅᄉᄉ́ɑᅵ
・́ᅵ러ᄂ 져ᄂᄎ́ɑᄅ́ᅩ ・ᅥᄅ́ᅵᄂ 百姓・́ᅵ
니르ᄀ́ᅩ져 ᄒ́ᅩᄅqᄇ́ᅢ・ᅵᄉ́ᅧᄃ́ᅩ
ᄆɑᄎ́ɑᄆᄂ̌ᅢ 제 ᄇᄃ́ᅳᄃ́ᅳᄅ 시ᄅ́ᅥ펴ᄃ́ᅵ
ᄆ̌ᅩᄃʰɑᄅqᄂ́ᅩᄆ́ᅵ 하ᄂ́ᅵᄅ́ᅡ
ᄂ́ᅢ ・́ᅵᄅ́ɑᄅ 爲ᄒ́ɑ・́ᅣ・̌ᅥ・ᅧᄉᄇ́ᅵ너ᄀ́ᅧ
ᄉ́ᅢᄅ́ᅩ ᄉ́ᅳᄆ́ᅳᄅ・ᅧᄃ́ᅳᆲ字ᄅɑᄅ ᄆɑᅵŋᄀɑ노니
ᄉ̌ᅡᄅɑᄆᄆ̌ᅡᄃ́ᅡ ᄒ̌ɑᅵ・・́ᅧᄉ̌ᅮf́ᅵ니ᄀ́ᅧ ᄂ́ᅡᄅᄅ́ᅩ ᄇᄉ́ᅮᄆ́ᅦ
便安ᄏ́ᅴᄒɑᄀ́ᅩᄌ́ᅧ ᄒɑᄅq ᄉᄃɑᄅɑᄆ́ᅵ니ᄅ́ᅡ.
없는 셈 치는 편이 좋을 듯;;


버그(?)

어떤 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반각 기호로는 문자 치환이 되지 않고 있다.




두 번째는 반풀어쓰기를 위한 자판이다. 반풀어쓰기를 하되, 초·중성은 전각을, 종성 부분은 반각을 이용한다(옛한글의 경우는 전각). 반풀어쓰기(=가로쓰기 환경의 모아쓰기)는 디자인적으로나 구조적으로 한글의 가로쓰기 형태에 가장 부합한다.


가로쓰기 환경의 모아쓰기엔, 끝소리가 [글이 쓰여지는 방향을 따라서] 자모 밑이 아닌 오른쪽 옆으로 붙어야 하는 것.


반풀어쓰기 입력은 여기를 참고.


키보드 레이아웃


'가로쓰기 환경의 모아쓰기'를 추구하지만, 동작 자체는 초·중성-종성으로의 한 음절당 처리가 안되므로 모아쓰기가 아닌 풀어쓰기가 되었다.


사용하기

반각 종성이나 첫변시 된소리를 'ㅅ-' 합용병서로 입력하도록 한 점을 제외하면 정음(신/공)과 대부분의 면에서 같다.




부록

참고 및 도움

  • <날개셋> 한글 입력기: 복벌식 입력기 예제.


같이보기


설정파일

2015-11-12, 날개셋 5.0 유형 자판 설정 파일:


풀어쓰기_정음_반각복벌-151112T21.ist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