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세벌식정음

세벌식 정음: 미세기(시간차)

Tolhisk 2015. 10. 5. 20:40

정리가 전혀 안돼있다(손놓고 있음;;).




미세기(정음)은 옛한글 입력과 가로모아ᄡᅳ기를 위해 마련한 세벌식 정음(신/공*)의 개량안이다.[세벌식 정음#1.4.x.] 세벌식 정음(옛한글)을 기반으로 314, 3-2015x, 신세벌식x 등의 다른 세벌식 계열의 특성들을 혼합하고 정리하였다.

  • 일부 모음과 받침의 위치는 다시 바ᄭᅱᆯ 가능성도 있다. 한 2-3년 안으로 가ᄭᅳᆷᄡᅵᆨ?-_-a

세벌식_정음_미세기시간차-1.4.6.190302T23.ist


키보드 레이아웃

기본 글쇠(단순화)


{기본, 첫·가·끝소리변경, 보조} 입력 글쇠들



[색은 분류별로 입혀둔 것으로 한 분류당 하나의 색으로 칠하도록 하였다.]


키보드는 동적(반자동)으로 상태 변경이 이루어지며, 이는 사용자가 좀 더 원하는 스타일로 글을 쉽게 입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상태 변경은 특정 글쇠를 누를 ᄯᅢ마다 일어나며, 명시적이거나 묵시적으로 중첩 밎 전환하며 이루어지게 된다.


사용하기

기본 방법은 314 혹은 3-2015 자판과 같다. 초성을 입력하고, 중성을 입력한다. 그리고 모음쪽 윗글쇠에 배열된 받침의 경우 갈마들이 방식으로 순아래 입력을 할 수 있다(빈 글쇠로도 가능):

ㅇ(j) + ㅑ(w) + <조합중>ㅍ(f) → 얖  [ Scroll Lock: 꺼짐. ]
ㅇ(j) + ㅑ(w) + <조합중>ᄑ(f) → 야ᄑ  [ Scroll Lock: 켜짐. ]

[※반각 입력은 '반각 받침 입력'을 참조.]


ㆍ 의 경우도 갈마들이로 입력한다.

ㄱ(k) + ㆍ(x) + ㄹ(y) + ㆍ(x) + ㅯ(z3) + 믈 → ᄀᆞᄅᆞᇝ믈
ᄀᆞ + ㅿ(t) → ᄀᆞᇫ


옛한글 입력:

이 자판은 태생에 ᄯᅡ라서 정음을 이용한 옛한글 문서 작성을 최우선으로 한다.

불휘〮기픈남ᄀᆞᆫ○
ᄇᆞᄅᆞ매〮아니〮뮐〯ᄊᆡ〮。

[가운뎃고리점(/)은 반각 원(halfwidth white circle)을 이용하였다.]



시프트 동작:

시프트 동작은 몇 가지 상태 변화를 거친다.

  1. 초성일 때:
    1. 시프트와 누르고, 받침 글쇠를 누른다 → 받침 입력(윗글쇠).[초·종성 입력.]
    2. 시프트를 단순히 눌렀다 뗀다 → 미세기 전환(한 글자).
  2. 초·중성일 때:
    1. 숫자 글쇠(맨윗줄):
      1. 시프트를 눌렀다 떼고서, 숫자 글쇠를 누른다 → 숫자 입력.[탈출 효과.]
    2. 받침 글쇠(나머지):
      1. 시프트와 받침 글쇠를 거의 동시에 누른다 → 끝변 입력.
      2. 시프트를 t 만큼 누르고, 받침 글쇠를 누른다 → 받침 입력(윗글쇠)+미세기 전환.
      3. 시프트를 눌렀다 떼고서, 받침 글쇠를 누른다 → 끝변 입력.
  3. 초·중·종성일 때:
    1. 시프트와 누르고, 받침 글쇠를 누른다 → 겹받침 입력(윗글쇠).[시프트동작불가. 시프트 없이는 가능.]
    2. 시프트를 단순히 눌렀다 뗀다 → 탈출.
  4. 공통:
    1. 시프트를 누르고, 숫자 글쇠를 누른다 → 기호 입력.

[변수 t 는, 시프트가 눌려지는 시간차(밀리초)로, 기본 값은 90 이다(옵션 설정).]


끝소리변경 입력은, 1·3번 상태, 윗글쇠 입력은 2번 상태일 때만 동작한다.

맨 윗줄 입력

숫자 입력:

숫자 글쇠는 QWERTY를 따르고 있다. 즉, 문자·숫자가 모두 갈마들이하며 동작한다.

10000년삼(10000hesnfz).
강아지 + <탈>(`) + 123 → 강아지123.
강아지 + <탈>(Shift) + 123 → 강아지123.
강아지 + 123 → 강아지ᇰᅟᅠퟭ.
강아지ᅁᅠ + <상>(q) → 강아지2.  [ 상용구 이용. ]

0 을 제외한 숫자 입력시 한글 조합 중이면, 보기 처럼 갈마들이 동작이 일어난다. 때문에 조합을 멈추기 위해서 탈출 글쇠 ⎋(`) 또는 Esc 글쇠를 누르는 식으로 조합을 중지해야만 ​한다.[ᅟᅠCaps Lock와 Num Lock이 함ᄭᅦ 켜지면, 숫자-문자열 갈마들이 입력 대신 문자열로만로 사용한다.]


문자 입력:

숫자열에 위치한 문자의, 빈 글쇠로 입력한다. 또 Caps Lock글쇠로 상태변경을 하면 기존 공세벌식 처럼 입력할 수 있다. 다음은 빈글쇠 ㅇ(A)를 이용하는 법이다.

ㅇ(A) + ㅛ(4) + ㅑ(6) → ᅟㆇ.

ㅇ(A) + ㆁ(1) + ㆁ(1) → ᅟᅠᇮ.

ㅇ(j) + ㆁ(1) + ㆁ(1) → ᄋᅠᇮ.


초성 및 겹자음 입력

ㅋ 입력:

윗글쇠 입력과 함께 온점과 ㅎ 조합(세벌식 모아치기)과 같은 방식으로 입력한다.

.(온점) + 모음 → ㅋ/모음.
ㄱ(j) + ㅎ(m) → ㅋ, ㅎ + ㄱ → ㅋ.
ㅋ(K).

[온점은 모음에만 반응한다.]

첫소리변경 입력(첫변):


<첫변용ㄱ> 글쇠를 이용한 초성변경 입력이다.

<첫변용ㄱ>(k) + ㄷ(u) → ㅼ.
<첫변용ㄱ>(k) + ㄴ(h) → ㅿ.


ㄱ을 중심으로 대상이 되는 자음을 이어치는 것인데, ㄱ의 경우 연타를 하게 되므로 예외적으로 ㅇ을 치도록 하였다( ㅿ도 함ᄭᅦ 밀림). 이 방식으로 된소리 표기를 위한 ㅅ합용병서 및 ㅿ 등을 입력 할 수가 있다.

<첫변용ㄱ> + {ㅎ, ㄴ, ㄹ, ㅁ} → ㅋ, ㅿ, ㆁ, ㆆ.
<첫변용ㄱ> + {ㅇ, ㄷ, ㅂ, ㅈ, ㅅ} → ㅺ, ㅼ, ㅽ, ㅾ, ㅄ.

[※안마태·3-2015x 등과 달리 초성 결합 규칙들 때문에 역순 입력은 안된다.]


같은 자음 연타 입력:

같은 자음을 연타하면 된소리를 위한 복자음을 입력할 수 있다. (ㅿ·ㆁ·ㆆ 은 연타 입력 없음.)

ㄱ + ㄱ → ㄲ, ㄷ + ㄷ → ㄸ···


일부 복자음 입력:

첫변이나 가변 기능에 따라서 ㄷ/ㅊ에 대한 복자음은 윗글쇠로 입력한다.

ㄱ + ㄷ(U) → ᅚᅠ.  [ ㄱ + ㄷ(u) → ㄸ ]
ㅅ + ㅊ(O) → ᄷᅠ.  [ ㅅ + ㅊ(o) → 싀 ]


치두음과 정치음 입력:


치두음·정치음을 나타내는 낱자들(ᄼᄾᄽᅠᄿᅠᅎᅐᅏᅠᅑᅠᅔᅕ)은 자음 글쇠를 누르고 획이 ᄲᅥᆮ치는 인접 글쇠를 누르면 된다.

ᄼᅠ ← ㅇ + ㄴ | ㄴ + ㅇ → ᄾᅠ
ᄽᅠ ← ㆀ + ㄴ | ㅥ + ㅇ → ᄿᅠ  [ ᄽᅠ ← ㅆ + ㅇ | ㅆ + ㅎ → ᄿᅠ ]
ᅎ ← ㅈ + ㄱ | ㅈ + ㅂ → ᅐ
ᅏᅠ ← ㅉ + ㄱ | ㅉ + ㅂ → ᅑᅠ
ᅔ ← ㅊ + ㅁ | ㅊ + ㅍ → ᅕ


'​ᅎ'​을 입력하기 위해선 '​ㅈ'​을 먼저 누르고 획이 ᄲᅥᆮ어가는 ᄶᅩᆨ, 즉 왼ᄶᅩᆨ에 위치한 '​ㄱ'​을 누르는 것이다. 반대로 '​ᅐ'​을 입력하려고 한다면,​ '​ㄱ'​대신 오른ᄶᅩᆨ에 위치한 '​ㅂ'​과 결합시킨다. ​다만 ​'​ㅅ'은 글쇠 위치를 고려하여, ㅅ과 함께 ㄴ·ㅇ도 함ᄭᅦ 사용한다.


중성 입력

ㅗ/ㅜ 계열의 복모음입력:

이 자판의 ㅗ/​ㅜ계열의 복모음은 오른쪽 조합용 글쇠를 이용하여 입력해야만 한다.

ㄱ + <조합용ㅗ>(/) + ㅏ → 과
ㅇ + <조합용ㅜ>(9) + ㅔ → 웨


가운뎃소리변경 입력(가변):


<가변용ㅢ> 글쇠 를 이용한 중성변경 입력으로, 결합 규칙은 다음과 같다:

<가변용ㅢ>(o) + {ㅏ, ㅐ, ㅓ, ㅔ} → ㅘ, ㅙ, ㅝ, ㅞ.
<가변용ㅢ>(o) + ㅡ → ᅟᆢ


+ㅣ엮음연결 입력(ㅣ연):

한글 조합 중, 모음 ㅓ(r)에 할당된 ㅣ엮음연결 글쇠를 이어친다(그림에서는 주로 쓰일 법한 글자들만 강조).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ㆍ} + ㅣ(r) → ㅐ, ㅒ, ㅔ, ㅖ, ㅚ, ㆉ, ㅟ, ㆌ, ㅢ, ㆎ.


단순한 글자 조합이다. 아무튼 복모음(옛한글 포함)도 가능하다.

ㅘ + ㅣ → ㅙ, ㅝ + ㅣ → ㅞ, …, ㅣ + ㅑ→ ᅟᆙ, ㆊ + ㅣ → ㆋ…


미전시 ㅣ연 글쇠는 작동을 중지하고, ㅣ(d)를 그대로 사용하여 조합한다.


ㅒ/ㅖ 입력:
아랫글쇠ᄶᅩᆨ에는 할당된 글쇠가 없다. ㅣ연한다.

ㅑ + ㅣ(d) → ㅒ  ( 낱자 입력할 때, 미전일 때. )

여 + ㅣ(r) → 예  ( ㅣ연, 초/중성 입력할 때. )


윗글쇠는 겹홀소리조합을 위한 것.


종성 입력

변ㅇ/ㆁ에 대한 구분 입력:

미세기(정음)은 ㅇ(0)을 지지하므로 옛한글 입력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자모를 만나면 이응이 아닌 ᅌᅵ으ᇰ을 입력한다. 단, 미전일 ᄯᅢ는 항상 ㆁ로 작동하며, 옵션에서 z 값으로 이 사항을 바꿀 수도 있다.

ㅺ ㅼ ㅽ ㅄ ㅾ ㅿ ㅸ ㆄ ㆁ ㆆ ㆍ ㆎ 'ᅟᆢ'


ᄯᅩ, 컨셉면에서 ㅇ(현대 이후), ㅇ/ㆁ(근대 이전)을 구분하여 다루고자 한다.

강(현대 이후). 한글 글자 마디. 강               = U+AC15. 소릿값은 [kaŋ].
강(근대 이전). 한글 자모 조합. ᄀ + ᅡ + ᆼ = {U+1100, U+1161, U+11BC}. 소릿값은 [ka].
가ᇰ(근대 이전). 한글 자모 조합. ᄀ + ᅡ + ᇰ = {U+1100, U+1161, U+11F0}. 소릿값은 [kaŋ].

['근대 이전의 받침 ㅇ' 입력은 '미세기 전환: 근대 이전 입력'에서 다룬다.]


순경음 받침 입력:

대상이 되는 받침을 먼저 입력하고 순차적으로 ㅇ(a)을 입력한다.

갑 + <끝변용ㅇ>(a) → 가ᇦ.
망 + ㅍ(f) → 맒.
봉 + ㅁ(z) → 보ᇢ  ( 끝변. )


ㅇ(a)을 먼저 입력하면 끝소리변경 입력자가, 나중에 복자음으로 입력되면 일반 ㅇ자가 입력된다.


ㆆ 받침 입력:

ㅣ연 글쇠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보통 상태에서는 시프트만으로 입력할 수 없으며, 끝소리변경하여 입력하도록 한다. ㅭ 같은 복자음 계열은 바로 입력할 수 있다.

ㅇ + ㆆ(R) → ᄋᅠᇹ  ( 시프트. )
가 + ㅇ(a) + ㆆ(r) → 가ᇹ  ( 끝소리변경, '가 + ㆆ(/r) → 가ᇹ'도 가능. )
홀 + ㆆ(r) → 호ᇙ  ( 갈마들이. )


미세기전환시에는 다른 글쇠들 처럼 시프트 글쇠 만으로 입력이 가능하다.


반각 받침 입력:

반각 받침 입력은 Scroll Lock을 작동하면 사용할 수 있다. 이 기능은 ᄲᅡᆯ래줄 글ᄭᅩᆯ이 보조해 주어야만 제대로 ᄡᅳᆯ수 있을 것이다.

가 + ᄂ(s) → 가ᄂ  [ ㄱ + ᄂ(s) → ㄱᄂ, ㅏ + ᄂ(s) → ㅏᄂ ]
가 + ㄴ(S) → 간

[※소리마디 상태에서의 윗글쇠 입력은 전각 입력이다.]


변ㅇ/ㆁ:

이름 그대로 '변하는 ㅇ/ㆁ'이다.

  1. 변ㅇ/ㆁ은 아랫글쇠에 있는 종성 ㅇ을 말한다.
  2. 변ㅇ/ㆁ은 현대 이후의 글자 조합에는 ㅇ을, 근대 이전의 글자 조합에는 ㆁ으로 사용된다.
    1. 현대 이후의 글자들은 유니코드의 한글 글자 마디에서 조합할 수 있는 낱자를 말한다.
    2. 근대 이전의 글자들은 한글 글자 마디에서 조합할 수 없는 낱자들을 말한다.
    3. 근대 이전의 낱자들을 취급하기엔 광범위하므로, 그 중 { ㅺ ㅼ ㅽ ㅄ ㅾ ㅿ ㅸ ㆄ ㆁ ㆆ ㆍ ㆎ 'ᅟᆢ' }에만 적용한다.
  3. 변 ㅇ/ㆁ의 ㆁ은 첫 번ᄶᅢ일 ᄯᅢ만 변하며, 두 번ᄶᅢ 부터는 바ᄭᅱ지 않는다, 즉 조합되기 위해 후속하는 변ㅇ/ㆁ은 언제나 ㅇ이다.
  4. 아랫글쇠 ㆁ과 윗글쇠 {ㅇ ㆁ}은 변하지 않고 고정이다.
  5. 위 사항들은 미세기전환시에는 작동하지 않는다.[전환일 ᄯᅢ, 아랫글쇠는 항상 ㆁ이다.]


방점 및 긴소리표 입력

방점 입력의 기본은 모음이 있는 조합 중, 숫자 7/8 글쇠로 입력하며, ㄷ/ㅁ 글쇠의 기호 입력으로도 가능하다.

강 + <조합중>◌〮(8) → 강〮

강 + ㄷ + <상>(q) → 강〯  [ 날개셋 편집기. ]

강 + <빈>(a) + ◌〯(u) → 강〯  [ 일반 편집기. ]

[가로모아ᄡᅳ기로 방점 입력을 한다면, '초·중성-방점-종성'으로 해주어야만 한다.]


긴소리표는 글쇠(P)로, 장음부호는 기호 입력한다.

향 + ː(P) → 향ː
아 + ] + <상>(q) → 아ー  [ 날개셋 편집기에서만 동작. ]
아 + ᅟᅠ<빈>(a) + ー(]) → 아ー  [ 조합중이라면, 탈출{기호} 글쇠를 이용. ]


글자 엮기

이 자판으로 직접 입력할 수 없는 글자들은 엮어서 조합한다(자판에 설정된 기본 조합식은 유니코드에서 제시하는 자모로 한정됨). 메타글쇠 ◆(\)를 이용할 수 있다.


*엮음 입력:

메타글쇠 ◆(\)를 이용한 초·중·종성조합(*엮음) 입력이다.[종성은 ㆆ만.]

ㄱ + <메> + ㆍㆍ → ᄀᆢ
이 + <메> + ㅑㅗ + ㅋ → ᄋힽᆿ  ( 메타 글쇠와 달리 모음이 있어도 동작가능. )


이 기능은 갈마들이 없이 모음을 2회 입력 받는다. 3중 이상의 조합은 초성 입력 뒤, 메타 글쇠를 지속적으로 누르면서 입력한다.

ᄙᅠ+ <메>{ㅗㅗㅣ} + ㅁ → ᄙힱᆷ

조합 글쇠는 글쇠를 누르고 ᄯᅦ기 전 까지 조합 상태가 유지된다. 만약, 미전상태일 때, 기본 모음 {(ㅏ, ㅓ, ㅕ, ㅗ, ㅜ), (맨 윗줄: ㅑ, ㅛ, ㅠ), ㅣ}을 위주로하여 낱자 조합이 가능해진다.


홀소리엮음 입력:

온점(.) 글쇠를 이용한 홀소리엮음 입력이다. 온점을 바로 입력하고 싶다면, 상용구를 이용한다.

ㅁ + <홀엮>(.) + ㅜㅜ → ᄆᆍ
ㄱ + <홀엮>(.) + <상>(q) →ㄱ.

ㅇ + <홀엮>{ㅣㅑㅣ} ㅇ → ᄋힾᆼ.  [ 누르는 형식도 가능. ]



보조 입력

ᄭᅳᇀ소리변경 입력(ᄭᅳᇀ변)


최종 순아래의 '​종성조합글쇠'​의 기능과 같은데, 이 자판에서는 ​단순히 종성 ㅇ 을 매개로 하여 변경하게 하였다. ㅇ 은 오른쪽에 ​있는 'ᄭᅳᇀ소리변경 글쇠(/)'를 누른다. 단, 글쇠(a)를 이용한 ㅇ일 경우, 나중에 입력하면 복자음을 위한 ㅇ(일반)을 입련한다.

강 + ㅂ(q) → 갂
안 + <ᄭᅳᇀ변용ㅇ>(/) → 않
어 + <ᄭᅳᇀ변용ㅇ>(/) + ㄱ(x) → 없


​사용하는 ​받침의 ​종류와 위치는 391·3-2015x를 참고.


미세기 전환: 근대 이전 입력


기본 전환은 초성 입력 뒤, 시프트(⇧, 윗글쇠가 아니다)를 누른다.[연타하는 것 쪽이 나으려나?] 이 기능이 작동하면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다.[일반형 기준.]

  1. 기본 모음 10자를 바로 조합할 수 있게 된다.
    • 모음부에 위치한 {ㅏ(f), ㅓ(r), ㅕ(e), ㅗ(v), ㅜ(b), ㅡ(g), ㅣ(d)}의 6자.
    • 맨 윗줄의 {ㅑ(6), ㅛ(4), ㅠ(5)}의 3자.
  2. 받침 {ㅈ(F), ㅊ(V), ㅋ(B), ㅌ(D), ㅍ(G), ㅎ(E)}의 갈마들이 동작 금지(윗글쇠로 입력).
    • 복자음 입력일 때만 갈마들어간다.
  3. 모음 {ㅐ(t), ㅑ(w), ㅔ(c), ㅚ(q), ㅟ(a), ㅛ(x), ㅠ(z)}를 윗글쇠로 조합 가능(강제 *엮음 기능 동작).
    • 위 모음과 겹쳐있는 받침 입력이 필요할 경우, <옵션글쇠+>를 활용한다.
  4. ㅣ연 글쇠(r)는 사용할 수 없다. [-ㅣ(d) 조합이 가능하므로, 이 쪽으로 사용한다.]
  5. 글쇠(a)는 항상 ㆁ을 입력하며, Space bar를 후속하면 ㅇ으로 변경된다.

(1) → ㄷ

교 + ㅑ(6) → + ㅣ(d) → ᄀᆅ.

으 + ㅣ(d) + ㅜ(b) → ᄋᆗ.

가 + ㅿ(t) → 가ᇫ.  [ = 가 + <옵시>{ㅿ}. ]

다 + ㅌ(E) → 닽.

ㆁ(a) + ㅅ(3) → ◌.

[ {Caps, Num}Lock가 모두 켜지면, 탈출{기호} 글쇠를 눌러도 갈마들이모드로 돌아가지 않는다. ]


근대 이전의 받침 ㅇ(0) 입력:

이 기능은 꼼수성(?) 기능이기 ᄯᅢ문에 날개셋 편집기에서는 동작하지 않는다(그리고 언제든지 ᄶᅡᆯ릴 수 있다). 설명하자면, 일단 날개셋의 VoidJONG 문자(프로그램에서는 VoidCHO로 나온다?)를 사용하였다. 이 문자를 붙이면 글자가 글자 마디로 변환되지 않으면서, 날개셋 편집기 이외에서는 없는 기호로 출력되기 ᄯᅢ문에 타자자가 시각적으로 선별할 수가 있게 된다.

[미세기전환 中]

가ᇰ(kfa) + ㅅ(3) → 가.  [ 낱자 조합: ㆁ(a) + ㅅ(3) → (◌). ][※ 윗글쇠를 이용한 가ᇰ(kf1)은 작동하지 않음.]

+ ㅊ + <상>(q) → 가ᆼ.  [ '' 날개셋 문자 중, VoidJONG(VoidCHO?). ]


이렇게 출력한 뒤, VoidJONG 문자를 수동으로 지워주면?

강 ← 글자가 하나로 합쳐진다(조합).


보는 것 처럼 유니코드를 충실히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라면 글자가 하나로 합쳐질 것이다. 이 방법이 유니코드의 권고사항을 무시하는 방법이기에 ᄡᅳ기가 애매하다면, 옛한글 입력시엔 가능한 ㅇ이 덜 ᄡᅳ이도록[대신 ㆁ이 주로 ᄡᅳ이도록] 하는 방향으로 문서를 작성한다.


기호와 { 상용구, 빈, 탈출{기호} }글쇠

[기호는 기본 23자에 부가적인 기호들을 더하여 ᄡᅳᆫ다.]


편의에 ᄯᅡ라 자주ᄡᅳ일 만한 것들을 배치하였다.

나랏〮말〯ᄊᆞ미〮中듀ᇰ귁〮國에〮달아〮○  [ 방점, 동그라미. ]

불휘〮기픈남ᄀᆞᆫ○ᄇᆞᄅᆞ매〮아니〮뮐〯ᄊᆡ〮。  [ 방점, 가운뎃고리점, (오른쪽)고리점. ]
“‘미세기(정ː음)’의 기〻호々다.”  [ {큰, 작은}ᄯᅡ옴표, 긴소리표, 반복부호 2종. ]

「세벌ᅟᅠ식、미서ᅵ기(□ː음)」의…  [ 홑낫표, 모점, 반각 ᅵ, ᄲᅡ짐표, 말줄임표. ]

※《미세기 — 정ː음 —》  [ 참고표, 겹화살괄호, 줄표. ]

[붙임표를 en-dash로 보고, 줄표는 em-dash를 사용하였다. horizontal bar는 상용구로 넣어둠.]

기본 23자 기호는 대체로 그 위치가 고정 상태이며, 더 추가할 것도 없을 것 같다.


상용구로 입력:

먼저 입력하고 싶은 기호 위치의 글쇠를 누른 뒤, 상용구(q) 글쇠를 누른다. 단, 날개셋 편집기 이외에서는 기호 위에 위치한 기호들을 변환할 수 없다.

ㅊ + <상>(q) → ○

ㅇ + <상>(q) → “

ㅄ/ㅆ + 상(q) → ・  [중점(전각 가운뎃점)]

ㅺ/ㆀ + 상(q) → ‘  (여는 작은따옴표)

[ㅈ(l) + ㅂ(;) →] ᅐᅠ + <상>(q) → 」  (닫는 낫표)

虛靈蒼 + ㅓ(r) + 상(q) → 虛靈蒼々 (반복 부호) [= 虛靈蒼 + '(J) + ✎(K).]

” + <상>(q) → 』  ( 』 + <상>(q) → ” )  [날개셋 편집기에서만 가능.]


안 + <상>(K) → 안녕하세요

[※ '방점 2종, 긴소리표, 장음부호, 참고표'는 날개셋 편집기에서 길게 눌러 입력할 수 있다.]


다음은 날개셋 편집기에서 작동하는 상용구 목록(대부분 날개셋 편집기에서 작동):



부록

예문

이런저런 예문들.


뱀:

뱀ː, 너무 길ː다.


투명드래곤:
"크아아아아"

드래곤중에서도 최ː강의 투명드래곤이 울부짓었다
투명드래곤은 졸라ᄶᅡᇰᄡᅦ서 드래곤중에서 최ː강이엇다
신이나 마족도 이겼ᄯᅡ 투명드래곤은
새ː상에서 하나였다 어ᄶᅢᆻ든 걔가 울부짓었다

"으악 제ː기랄 도망가자"

발록들이 도망갔다 투명드래곤이 ᄶᅡᇰ이었ᄯᅡ
그래서 발록들은 도망간 것이다

ᄭᅨː소ᄀ《'투며ŋ드래고ᄂ' 제1화》

애국가 1·3절, 후렴:

도ᄋ해 무ᄅ과 배ᄀ두사ᄂ이 마르고 다ᄚ도로ᄀ
하느니ᄆ이 보ː우하사 우리나라 마ᄂː세.

가으ᄅ 하느ᄅ 고ᄋ화ᄅ하ᄂ데 노ᄑ고 구르ᄆ 어ᄡː이
밝으ᄂ 다ᄅ으ᄂ 우리 가스ᄆ 이ᄅ펴ᄂ다ᄂ시ᄆ이ᄅ세.

무구ᄋ화 사ᄆ처ᄂ리 화려가ᄋ사ᄂ
대ː하ᄂ 사ː라ᄆ, 대ː하ᄂ으로 기ᄅ이 보ː저ᄂ하세.

사용자 정의

아무거나글쇠 x(7)에 대하여 간단히 사용자 정의 & 선택하여 ᄡᅳᆯ 수 있다. 기본값은 'ᅟᆢ'.

x=H3|FF  [ 아무거나z: ᅟᆢ. ]
x=H3|YE  [ 아무거나글쇠 x에 'ㅖ' 를 넣는다. ]


날개셋의 가상 낱자를 수정하여 ᄡᅳ면 더 효과가 좋다.


시프트글쇠를 이용한 홀소리 모드 전환 사용:

u 값을 주어 모음 입력시 홀소리조합 기능을 사용한다. 기본값이다.

'…글쇠배열 > 옵션: 공통 전처리 수식 지정' = …, u=1


움직인 글쇠들

빗금(/), 쌍반점(;), 억음부호(`), 역슬래시(\), 작은따옴표(').


주요 설정


참고 및 도움


이전 버전


같이보기


설정파일

2019-03-02 ver.1.4.6 날개셋 5.0 유형 자판 설정 파일:


세벌식_정음_미세기시간차-1.4.6.190302T23.ist


=ᄭᅳ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