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세벌식정음

세벌식 정음: 9식(회귀)

Tolhisk 2016. 4. 13. 00:35

9식(미세기)[39식] 키보드는 미세기(정음)을 기반으로 390으로 부터 파생하는 배열들을 쌓아올렸다. 새로운 390 파생작이 나오기 전 까지는 동결이며, 새로운 파생작이 매우 만족스럽다면 그 때가서 뭔가 덧붙여질 여지가 혹 있겠다.

  • 버그가 있으나 못 써먹을 정도는 아님.


키보드 레이아웃

{기본, 첫·가·끝소리변경} 입력 글쇠들


사용법은 미세기(정음)과 거의 같으므로 그 쪽을 참고한다. 모음과 받침의 위치가 다르고, 메타 글쇠나 기호들은 필요한 것만 놔두었다.


맨 윗줄 & 기호 입력:

더미빈글쇠 ㅇ(a)를 먼저 입력하고 나서, 맨 윗줄 글쇠를 눌러준다.[Caps Lock을 작동해도 가능하다.]

ㅇ(a) + ㅛ(4) → ㅛ


기호 입력:

기호 입력은 두 가지 유형이 있다. 각각 상용구 글쇠를 이용하는 것과 위와 같은 사용법이다.[기호는 Caps Lock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용구로 입력]

ㅅ(n) + ㅆ(2) → —

ㅎ(m) + ㅆ(2) → …

ㅆ + ㅆ(2) → ・  [중점(전각 가운뎃점)]

\ + ㅆ(2) → ※

ㅇ + ㅆ(2) → “  (여는 큰따옴표)

ㄲ + ㅆ(2) → ‘  (닫는 작은따옴표)

ㅈ + ㅆ(2) → 《  (여는 겹화살괄호)

ㅃ + ㅆ(2) → 〉  (닫는 홑화살괄호)

[ㅊ(o) + ㅁ(i) →] ᅔᅠ + ㅆ(2) → 『  (여는 겹낫표)

[ㅈ(l) + ㅂ(;) →] ᅐᅠ + ㅆ(2) → 」  (닫는 홑낫표)

虛靈蒼 + '(J) + ✎(K) → 虛靈蒼々 (반복 부호)

안 + ✎(K) → 안녕하세요


[더미빈글쇠로 입력]

ㅇ(a) + , → 、

ㅇ(a) + . → 。


시프트 동작:

시프트 동작은 몇 가지 상태 변화를 거친다.

  1. 초성일 때:
    1. 시프트와 누르고, 받침 글쇠를 누른다 → 받침 입력(윗글쇠).[초·종성 입력.]
    2. 시프트를 단순히 눌렀다 뗀다 → 미세기 전환(한 글자).
  2. 초·중성일 때:
    1. 숫자 글쇠(맨윗줄):
      1. 시프트를 눌렀다 떼고서, 숫자 글쇠를 누른다 → 숫자 입력.[탈출 효과.]
    2. 받침 글쇠(나머지):
      1. 시프트와 받침 글쇠를 거의 동시에 누른다 → 끝변 입력.
      2. 시프트를 t 만큼 누르고, 받침 글쇠를 누른다 → 받침 입력(윗글쇠)+미세기 전환.
      3. 시프트를 눌렀다 떼고서, 받침 글쇠를 누른다 → 끝변 입력.
  3. 초·중·종성일 때:
    1. 시프트와 누르고, 받침 글쇠를 누른다 → 겹받침 입력(윗글쇠).[시프트동작불가. 시프트 없이는 가능.]
    2. 시프트를 단순히 눌렀다 뗀다 → 탈출.
  4. 공통:
    1. 시프트를 누르고, 숫자 글쇠를 누른다 → 기호 입력.

[변수 t 는, 시프트가 눌려지는 시간차(밀리초)로, 기본 값은 90 이다(옵션 설정).]


끝소리변경 입력은, 1·3번 상태, 윗글쇠 입력은 2번 상태일 때만 동작한다.




같이보기


바깥링크


설정파일

2019-03-02, 날개셋 5.0 유형 자판 설정 파일:


9식_회귀-190302T23.ist



이전 파일(참고용):


9식_시간차-180826T21.ist

9식_고오큽-170318T23.ist
9식_동결_-170201T19.ist

9식_동결-161011T02.ist

세벌식_정음_9식미세기-160319T15.ist

세벌식_정음_9식접착-150928T10.ist

세벌식_정음_옛한글숫자_150706.ist


=끝